배너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인천 11.6℃
  • 맑음수원 12.8℃
  • 맑음청주 12.9℃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맑음전주 13.0℃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여수 13.8℃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천안 12.0℃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캐나다 총리 트뤼도 사임, '10년간 정치생활 중단'

“당 안팎 갈등으로 더 이상 총선 승리 어렵다”
극도로 낮은 지지율…집권 자유당 위기
리셋 필요한 시점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캐나다의 저스틴 트뤼도(53) 총리가 사임 의사를 밝히면서 10년 가까이 이어온 그의 정치 경력에 막을 내리게 됐다.

 

트뤼도 총리는 차기 총리 선출 전까지 직을 유지하겠지만, 이미 급격히 떨어진 지지율 속에서 내년 10월까지 반드시 치러야 하는 총선을 앞두고 집권 자유당(Liberal Party)은 큰 위기에 놓였다.

 

 

“당 안팎 갈등... 더 이상 총선 어려워”

 

트뤼도 총리는 2015년 총선에서 참신한 이미지와 진보적 정책을 내세워 당선되며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인기가 급락해 당 내부 반발이 거세지자, 결국 스스로 사임을 결정했다. 그는 “내부 싸움에 힘을 쏟으면 총선에서 이길 수 없다”고 밝혔다.

 

트뤼도의 지지율은 약 20%대로 급락했고, 자유당은 보수당(Conservative Party)과의 격차가 20% 포인트 이상 벌어졌다. 유권자들은 높은 생활비와 주택 부족 사태에 대한 정부 대응이 미흡했다고 비판한다. 특히 이민 문호 확대 정책이 주거난을 더욱 가중시켰다는 지적이 많다

 

 

 ‘트럼프 공세’ 맞물려 정치·경제 부담 가중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을 앞두고 북미 자유무역 재협상, 이민·마약 문제 등을 거론하며 캐나다에 25%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한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트럼프는 캐나다가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되길 원하는 사람이 많다’며 트뤼도를 조롱하기도 했다.

 

 

차기 총선 레이스: 프리랜드·카니 vs. 보수당 포일리에브

 

차기 자유당 대표로는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전 재무장관과 마크 카니 전 영국·캐나다 중앙은행 총재 등이 거론된다. 보수당의 피에르 포일리에브 대표는 “트뤼도의 재정 운영이 물가 상승을 부추겼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탄소세 감축 등 보수적 경제 정책을 앞세워 지지층을 넓히고 있다.

 

트뤼도 총리는 2019년 몬트리올 엔지니어링 회사 SNC-라발랭 사태와 ‘블랙페이스’ 파문 등으로 ‘포용의 아이콘’ 이미지를 크게 훼손했다. 이후 코로나19 시기 트럭 운송업자 시위(Freedom Convoy) 사태에 긴급조치법을 적용해 강제 해산하면서, 개인 자유를 지나치게 억압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외교 무대서도 위기…중국·인도 갈등 노출

 

트뤼도는 지난해 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비공개 대화 유출’ 문제로 공개 질책을 받았고, 올 들어서는 캐나다 내 시크교 지도자 암살 관련 발언으로 인도와 외교 갈등을 빚었다.

 

트뤼도는 “싸워온 시간들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지만, 이제는 재정비할 때”라며 사임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총선 전까지 총리직을 유지하겠지만, 당내 차기 지도부가 결정될 때까지 국회는 3월 24일까지 휴회에 들어간 상태다. 캐나다는 트뤼도의 퇴장과 함께 새로운 정치 지형 속에서 경제·외교적 도전에 맞서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대우건설 “13년째 멈춰선 동작구 재개발, ‘더 좋은 집’ 약속 뒤 남겨진 책임 공백”

서울 동작구 본동 441번지 일대에서 시작된 지역주택조합 방식의 재개발 사업이 13년째 지지부진한 상태다. 주민들은 “노후 주택을 철거하고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에 들어가게 해주겠다”는 제안을 믿고 수억 원의 분담금을 냈지만, 지금은 집도 신용도 잃은 채 법정 앞에 섰다. 이 사업은 조합 조건의 미비, 대기업의 채무보증 구조, 행정기관의 인허가 책임 유보 등 복합적 문제를 드러내며 한국 재개발 시스템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조합의 구조적 결함 2007년 설립된 ‘노량진본동지역주택조합’은 무주택자·전용면적 60㎡ 이하 주택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조합원을 모집했다. 조합원들은 아파트 한 채를 기대하며 1인당 2억~3억 원대의 분담금을 냈다. 하지만 조합은 토지확보율, 조합원 동의율 등 사업 추진에 필수적인 조건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보고된다. 또한, 조합장은 수백억 원대 횡령 혐의로 실형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조합의 내부 부실이 사업의 본궤도 진입을 막았고, 결국 2012년 약 2 700억 원 규모의 대출금 만기 상환을 못해 파산 상태에 빠졌다. 대기업의 채무보증과 책임 회피 논란여전.시공사로 선정된 대우건설은 조합의 PF 대출에 연대보증 형태로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