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7℃
  • 맑음강릉 9.8℃
  • 맑음서울 6.1℃
  • 맑음인천 7.1℃
  • 맑음수원 4.1℃
  • 박무청주 6.6℃
  • 박무대전 5.0℃
  • 박무대구 5.9℃
  • 맑음전주 6.5℃
  • 구름조금울산 7.6℃
  • 박무광주 8.3℃
  • 구름많음부산 12.4℃
  • 구름많음여수 12.9℃
  • 구름조금제주 15.2℃
  • 맑음천안 2.6℃
  • 맑음경주시 4.2℃
  • 구름조금거제 10.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아웃사이더, 힙합과 예술의 조합.. 정규 5집 '[HISTORIA]&‘2025 아트 렙타일 페스타’ 출시

20년 음악 인생을 담은 정규 5집, 독창적 힙합의 귀환
예술과 파충류 문화의 융합, 특별한 전시로 새로운 시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데뷔 20주년을 맞아 아웃사이더가 정규 5집 [HISTORIA]를 발매한다. 오는 2월 21일(금) 오후 6시 공개될 이번 앨범은 10년 만에 발표되는 정규 앨범으로, 그의 음악적 여정을 집약한 작품이다.

 

이번 앨범에는 총 15곡이 수록되었으며, 타이틀곡 ‘HISTORY’에는 한국 힙합 1세대를 대표하는 MC 스나이퍼가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아웃사이더는 이 곡을 통해 자신의 20년 음악 활동을 강렬한 래핑과 솔직한 가사로 풀어냈으며, 정상수, 장문복, 김재중, 간종욱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과 협업해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앨범 발매를 기념해 2월 21일 저녁 홍대 카페에서 아웃사이더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조엔 스트래인지가 함께하는 음감회가 열린다. 이어 22일에는 정상수 & 블리스, 아스트랄스웨기 & 말키 등 실력파 아티스트들이 함께하는 힙합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또한, 아웃사이더는 음악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영역에서도 활발한 행보를 이어간다. 그는 국내 최초의 파충류 문화 예술 전시 ‘2025 아트 렙타일 페스타’를 직접 기획하며 문화적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2월 19일(수)부터 23일(일)까지 홍대에서 개최되며, ‘Reptile’, ‘Art’, ‘Vivarium’, ‘Exhibition’(R.A.V.E)라는 키워드 아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선보인다.

 

전시에는 ‘랩 아카데미’, ‘무이라비브’, ‘트로피컬 랩’ 등의 비바리움 아티스트와 ‘모스리움맨’, ‘더렉’ 등의 테라리움 및 3D 프린팅 아티스트가 참여하며, ‘스케일즈’, ‘렙티스트’ 등 국내 유명 작가들의 파충류 아트도 함께 공개된다. 22일에는 파충류 생태와 사육에 대한 심포지엄이 진행되며,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깊이 있는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아웃사이더는 한국양서파충류협회 홍보대사로서 파충류 문화의 대중적 확산을 위해 꾸준히 활동하고 있으며, 그가 운영하는 ‘랩 아카데미’를 통해 관련 전문가 및 애호가들의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한편, 아웃사이더의 정규 5집 [HISTORIA]는 2월 21일(금) 오후 6시, 전 음원사이트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