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04 (금)

  • 구름조금동두천 7.4℃
  • 맑음강릉 9.6℃
  • 연무서울 9.2℃
  • 박무인천 7.5℃
  • 박무수원 8.4℃
  • 연무청주 9.7℃
  • 연무대전 10.0℃
  • 맑음대구 9.1℃
  • 박무전주 10.4℃
  • 맑음울산 9.5℃
  • 연무광주 9.6℃
  • 맑음부산 10.8℃
  • 맑음여수 10.4℃
  • 구름많음제주 10.7℃
  • 구름많음천안 8.1℃
  • 맑음경주시 8.8℃
  • 맑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TVB '최우수 남우주연상' 수상 배우 모제스 찬, AION V 홍콩 공식 출시 현장에서 엄지 척!

홍콩 2025년 4월 3일 /PRNewswire/ -- GAC의 글로벌 전략 모델 AION V가 3월 31일 홍콩에서 공식 출시됐다. 새롭게 선보이는 AION V는 프리미엄과 럭셔리 두 가지 모델로 제공된다. 공식 판매 가격은 각각 21만 8000홍콩달러와 23만 8000홍콩달러로 정해졌다. 사전 주문하는 고객은 프리미엄 모델과 럭셔리 모델을 각각 20만 8000홍콩달러와 22만 8000홍콩달러라는 얼리버드 가격 혜택을 누리며 구입할 수 있다.


'강인하고 지능적인 새로운 SUV'를 표방하는 AION V는 지능형 기술, 장거리 주행 성능, 넉넉한 실내 공간, 탁월한 안전성을 추구하는 가족 단위의 사용자들이 주요 타깃이다. 홍콩 소비자들에게 최첨단 스마트 기술과 프리미엄 모빌리티 경험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동시에 제공한다.

원터치 리클라이닝 기능을 가진 AION V의 앞좌석은 완전하게 패드가 깔린 풀사이즈 럭셔리 침대로 매끄럽게 변환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의 편안함을 재정의한다. 플래그십급 뒷좌석 공간은 고급 대형 SUV의 뒷좌석 공간에 버금가는 개방감을 선사한다. AION V에 장착된 8.88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14.6인치 중앙 터치스크린은 향상된 스마트 드라이빙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400V+3C 초고속 충전 기술로 단 16분 만에 30%-80% 충전이 가능해 경제적이면서도 스트레스 없는 주행 경험을 보장한다.

출시 행사에 참석한 배우 모제스 찬(Moses Chan)은 "AION V는 기능 면에서 100만 달러짜리 가족용 자동차를 능가하는 성능을 발휘하므로 홍콩 가정의 궁극적인 선택이 될 것"이라는 시승 소감을 전했다.

왕순성(Wang Shunsheng) GAC 인터내셔널 부사장은 "GAC의 뛰어난 기술적 역량이 집약된 AION V은 '하나의 GAC 2.0(One GAC 2.0)' 전략 아래 완성된 '최고 수준의 품질과 선구적인 기술'을 보여주며 글로벌 벤치마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ION V는 동급 최고 사양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홍콩 소비자들에게 비교할 수 없는 가치를 선사하며 지능형 모빌리티 경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속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임박.. 운명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가 오늘(4일) 오전 11시,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내려진다. 헌정사상 현직 대통령이 직접 변론에 참여한 전례 없는 사건으로, 헌재의 결론에 따라 정국의 향배가 크게 요동칠 전망이다. 헌법재판소는 선고 직전인 이날 오전 9시 30분, 재판관 전원이 참석하는 마지막 평의를 열어 결정문 문안을 최종 확정했다. 재판관 8명 중 6명 이상이 찬성하면 탄핵이 인용되며, 인용 결정 즉시 윤 대통령은 파면된다. 반대로 기각 또는 각하될 경우, 대통령은 즉시 직무에 복귀한다. 윤 대통령은 선고에 출석하지 않기로 했다. 대통령실 측은 질서 유지와 경호상의 이유를 들었다. 탄핵심판 변론에 직접 출석했던 전례와 달리, 선고에는 불참을 선택한 것이다. 헌재는 당초 재판관 출근길 취재를 전면 불허했으나, 일부 언론 요청을 수용해 제한적 허용으로 방침을 변경했다. 이번 선고는 전국에 생중계되며, 일반 시민 방청도 허용된다. 정치권은 탄핵심판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헌재 내부에서는 인용 또는 기각 여부를 둘러싼 다양한 관측이 제기되는 가운데, 헌재의 평의가 길어졌다는 점에서 재판관 간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