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11.3℃
  • 맑음강릉 18.2℃
  • 맑음서울 12.4℃
  • 맑음인천 11.3℃
  • 맑음수원 11.9℃
  • 맑음청주 13.3℃
  • 맑음대전 14.4℃
  • 구름조금대구 15.4℃
  • 맑음전주 15.5℃
  • 흐림울산 16.3℃
  • 구름조금광주 15.0℃
  • 흐림부산 16.2℃
  • 구름많음여수 15.4℃
  • 흐림제주 14.9℃
  • 맑음천안 10.8℃
  • 구름많음경주시 14.9℃
  • 흐림거제 16.2℃
기상청 제공
배너

문화/예술

김제시, ‘자연과 음악이 어우러진 오감축제’

2025 모악산 뮤직페스티벌 성황리에 종료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김제시는 지난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모악산 잔디광장 특설무대 일원에서 열린 ‘2025 모악산 뮤직페스티벌’이 많은 시민과 관광객의 참여 속에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밝혔다.

 

이번 페스티벌은 “음악으로 엮어가는 세대간의 이야기”를 주제로, 국내외에서 사랑받는 뮤지션들과 김제 시민이 함께 만드는 참여형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무대에는 안예은, 이젤, 마이진, 노브레인 등 실력파 아티스트들이 대거 참여해 다채로운 장르의 음악을 선보였으며,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한 먹거리 부스, 가족 단위 참여가 가능한 체험 행사까지 어우러져 ‘보고 듣고 맛보는 오감 체험형 축제’라는 찬사를 받았다.

 

2025년 페스티벌의 가장 큰 변화는 시민 참여형 음악 체험 프로그램의 본격 도입이다.

 

올해 새롭게 마련된 아이들이 직접 만들어 보는 ‘나만의 악기 만들기’, 드럼 스틱을 들고 무대에 올라 연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브레멘 음악대와 같은 체험 프로그램은 “내가 직접 주인공이 되는 무대였다”는 관람객의 반응처럼 단순한 공연 관람을 넘어 참여와 몰입을 유도한 축제 구성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김제시 공식 SNS 채널과 연계한 현장 팔로우 이벤트도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체험존에서 제공된 총 200장의 유료체험권(토·일 각 100장)은 행사 시작 직후 빠르게 소진됐으며, 김제시 SNS 4개 이상 팔로우 후 참여 가능한 ‘지평선쌀 경품 추첨 이벤트’에는 양일간 총 1,000여 명이 응모해 SNS 채널 활성화와 지역 농산물 홍보에도 기여했다.

 

이번 축제는 시민 참여뿐 아니라 자발적인 질서 문화 조성도 돋보였다. 자원봉사자 100여 명이 행사장 곳곳에서 안내, 청결, 질서 유지에 힘쓰며 관람객의 안전과 편의를 적극 지원했다. 축제 종료 후에는 현장 환경 정화 활동도 즉시 시행되어 ‘시민과 함께 만든 축제’로서 모범적인 운영 사례를 남겼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이번 모악산 뮤직페스티벌은 단순한 음악 행사를 넘어 자연, 시민 참여, 디지털 마케팅이 어우러진 복합형 지역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며, “앞으로도 김제만의 정체성과 자연환경을 살린 특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대한민국 대표 로컬 문화도시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는 이번 축제를 통해 수집된 시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2026년 모악산 뮤직페스티벌은 더욱 발전된 구성과 콘텐츠로 선보일 예정이며 시민의 참여가 기획에 반영되는 '시민참여형 축제 모델'로의 전환이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포항시, 조선시대 성곽 '연일읍성' 국가유산 지정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포항시는 조선시대 성곽인 '연일읍성'의 보존과 활용에 학술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유산 지정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일읍성'은 남구 대송면 남성2리의 한 마을을 둘러싼 석축 성곽이다. 길이 약 2km, 높이 최대 2.5m에 이르는 성축 성곽이 잔존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보존 상태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성곽 안에는 연일 정씨의 시조인 형양공 정습명(鄭襲明, 1096~1151)의 묘와 이를 지키는 재실 '남성재(南城齋)'가 위치해 있다. 연일읍성에 관한 문헌 기록도 풍부하다. '세종실록'에는 1430년과 1439년 경상도 연일에 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1530년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둘레 2,940자, 높이 12자, 우물 3개 등이 언급돼 있다. '여지도서'를 비롯한 다양한 문헌과 고지도에도 읍성의 위치, 규모, 주요 시설에 대한 정보가 상세히 담겨 있으며, 18세기 중엽 제작된 '여지도'에는 읍성과 내부 객사와 동헌의 위치까지 표현돼 있다. 포항시는 이러한 역사 자료를 바탕으로 올해 연일읍성의 중장기 보존·활용을 위한 학술 용역을 추진하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