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단통법 부작용 '알뜰폰'으로 해결


통신요금을 줄일 수 있는 알뜰폰이 가계통신비를 줄이고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부작용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통 시장은 단통법 시행 초와 비교했을 때 휴대폰 가격이 내리고 보조금이 늘어나는 등 차츰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이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유통망들은 암암리에 높은 보조금을 미끼로 고가 요금제 가입을 유도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중저가 요금제 가입자를 유치하면 마진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소비자는 출시된 지 15개월 미만된 휴대폰을 기준으로 이통사 유통망에서 최대 30만원 가량의 보조금을 받으려면 9만원대 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

알뜰폰은 이러한 고가 요금제 가입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소비자는 5만원대 요금제에 가입하면 최대 30만원의 보조금을 받고 같은 휴대폰을 구매할 수 있다.

알뜰폰은 주 고객층이 초기 노년층 중심에서 중장년층 등으로 확대되면서 종류와 요금제도 다양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으로 통신비 절감 효과를 본 중장년 부모가 자녀의 통신비도 줄이고 스마트폰 과몰입을 방지하기 위한 '열공폰' 등에 주목하면서 고객층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헬로모바일의 경우 3G 요금제 17종, LTE 요금제 33종 등 총 50종의 요금제를 내놓았다. 소비자는 알뜰폰 업체 홈페이지를 방문해 음성이나 문자, 데이터 등 사용량에 따라 자신에게 알맞은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통사에 비해 통화품질이 떨어지지 않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알뜰폰 업체들은 이통사로부터 통신망을 빌려 서비스하기 때문이다. 알뜰폰 업체들은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기존 이통사에서 제공하는 멤버십 혜택도 점차 늘려가고 있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