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산이, 호주에 첫 수소 충전 프로젝트 공급 - 글로벌 그린 에너지 확장의 이정표 달성

상하이, 2025년 5월 30일 /PRNewswire/ -- 2024년 4월, 산이(SANY)가 호주의 한 고객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는 중국 최대 규모의 통합 생산 및 수소 충전소를 건설한 이후 처음으로 자사의 수소 기술을 해외 시장에 선보이게 된 쾌거다. 올해 5월 20일, 산이는 맞춤 개발된 200Nm³/h 스키드 장착형 수소 생산 및 충전 장비를 고객에게 공식 납품함으로써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국제화를 향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첨단 기술로 구현한 고효율 수소 충전

이 프로젝트는 업계 최고 수준의 유연한 전해 수소 생산 기술을 활용하며, 포괄적인 제어 시스템을 결합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50MPa 및 90MPa의 듀얼 압축 기술과 수소 저장 기능을 갖춘 이 단일 장치 시스템은 35MPa 상용차와 70MPa 승용차의 수소 충전 요구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 즉, 화물 운송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주행 등 어떠한 차량이라도 이 통합 충전소에서 빠르고 안전한 수소 충전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글로벌 기준을 적용한 안전하고 규범적인 시스템 구축

호주 시장으로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 해당 프로젝트는 생산 시 현지 시장 표준을 엄격히 준수하고 BV(Bureau Veritas) 및 TUV SUD의 인증을 받았다.

•  AS 3000 전기 안전 인증: 호주 최고 수준인 Class 2 기준 충족

•  ASME/AS1200 이중 인증: 압력 용기는 ASME U3 스탬프로 미국 및 호주 표준 인증 획득, 피로 수명은 20000사이클 이상.

•  SAE J2601 수소 충전 프로토콜 테스트: 국제 수소 충전 표준 충족, 70MPa 승용차를 3분 이내에 충전 가능

엄격한 안전 분석을 통한 설계 중심 개발

산이는 설계 기반의 선행 개발 프로세스를 채택하고 있다. 개발 과정에서 프로젝트팀은 PEM 수소 생산 및 정제 시스템과 고압 수소 충전 시스템 모두에 대해 철저한 위험 평가 및 제어(위험 식별, 위험 및 운용성 연구, 안전 무결성 수준, 보호 계층 분석 등)를 수행했습니다.

이러한 분석 접근 방식을 통해 위험을 조기에 식별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지능적이며 탄력적인 수소 솔루션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첨단 기술, 엄격한 안전 기준, 글로벌 협력을 통한 산이의 호주 진출 성공은 지속 가능한 개발의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 산이는 청정에너지에 중점을 두고 풍력, 태양광, 수소, 에너지 저장 및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샹원보(Xiang Wenbo) 산이 중공업 회장은 "산이는 탈탄소화와 녹색 성장을 향한 전환을 가속하고 있으며, 업계의 녹색 동력에 기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가속화 위한 윤리적 문제 해결책 모색 중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AI 기술 발전과 함께,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해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 시스템의 편향성, 프라이버시 침해, 일자리 감소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기술 발전과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 알고리즘의 투명성 확보와 편향성 제거를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많은 AI 시스템은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데, 이 데이터 자체에 편향성이 존재할 경우 AI는 차별적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에서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알고리즘의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AI 기술의 오용 방지를 위한 규제 마련 또한 시급한 과제이다. AI를 악용하여 개인 정보를 침해하거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