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치아 문제 없이 발생하는 '비치성 치통'


 

치통은 치아로 인해 생기는 통증으로 주로 충치로 인한 치수염이나 치근단(치아뿌리 끝) 조직 염증, 치주염, 사랑니 등이 치통을 유발한다.

그런데 치아에 문제가 없어도 통증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치통이 심할 경우 아픈 부위의 치아를 뽑기도 하지만 그래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같은 증상을 '비치성 치통'이라 한다.

8일 강북다인치과 양현봉 대표원장은 "치아가 아파 병원을 찾은 환자들 중 검진을 해봐도 치아에 별다른 이상이 없으면 비치성 치통을 의심한다"며 "비치성 치통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비치성 치통의 원인은 근막통증, 상악동염, 타석증, 구강종양, 심장질환, 편두통, 신경통 등 다양하다. 비치성 치통은 그 원인이 어떤 것이든 치아보다는 발병 요인을 치료해야 통증이 사라진다.


근막통증

근육통은 대개 특정 부위에 통증을 발생시키지만 근막통증은 신체의 모든 부위로 통증이 옮겨갈 수 있기에 실제 통증이 일어난 부위 외 다른 곳에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일례로 음식을 깨무는 역할을 하는 교근 근육이 뭉친 경우 위ㆍ아래 어금니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럴 땐 어금니보다 근막통증을 해결해야 치통을 없앨 수 있다.


상악동염

축농증 등으로 생긴 고름이 상악동(위턱 위에 있는 빈 공간)에 고여 주변 치아 신경을 건드리게 되면 위 송곳니나 어금니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주로 고개를 숙이거나 움직일 때 치통이 나타나며 치아 치료보다는 상악동에 고여 있는 고름을 제거해야 한다.


타석증

타석증은 침샘의 관이 석회화된 물질에 막혀 돌이 생긴 것이다. 혀밑샘이나 턱밑샘에 돌이 생기면 아랫니에 통증이 일어나기도 한다. 레몬즙 같은 신 음식을 먹으면 통증이 더욱 심해지는데, 신맛을 느끼면 침샘에서 침이 많이 분비되면서 침샘에 고인 침이 돌 때문에 막힌 관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편두통

안면 편두통도 치아에 통증을 일으킨다. 메스껍거나 구토를 동반하는 치통을 느끼고, 치과 검진에서 아무런 이상이 없다면 편두통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신경통

치통을 일으키는 신경통은 말초 신경통과 중추 신경통 등 두 가지가 있다. 잇몸 아래나 턱 주변을 지나는 말초 신경에 통증이 있는 경우 인접한 치아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대개 한쪽 부위에서만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난다.

중추 신경통은 안면 감각과 통증을 관장하는 신경인 삼차신경에서 통증이 비롯되는 것이다. 주로 눈ㆍ코 주위나 아래 턱 부위에서 전기가 흐르는 것처럼 찌릿찌릿한 통증이 나타난다. 이 경우 아래턱이나 위턱의 치아에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신경통으로 인한 치통은 대부분 약물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양현봉 원장은 "통증이 유발하는 정확한 원인을 찾아 그에 맞는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라며 "이를 심하게 갈 경우에는 치아 보조물인 스프린트 같은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김혜정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강진군, 노후주택 200가구 화재 예방 '긴급 점검' 돌입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권희 기자 | 강진군은 지난 6일부터 오는 9월 6일까지 한 달간, 관내 11개 읍면의 우리동네 복지기동대와 119생활안전순찰대가 협력해 화재에 취약한 노후주택 200가구를 대상으로 긴급 화재예방 점검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지난 6월 부산에서 발생한 노후주택 화재로 어린 자녀들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사건을 계기로 추진된 것으로, 화재에 취약한 가구에 대한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군은 준공된 지 20년 이상 지난 스프링클러 미설치 아파트 80여 곳을 포함해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노후주택 130여 곳을 집중 점검 대상으로 정했다. 점검 대상 가구에는 누전 차단 멀티 콘센트를 교체하고,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를 부착하는 등 실질적인 화재예방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강진원 군수는 “화재는 철저한 사전 예방만으로 충분히 피할 수 있는 재난”이라며 “앞으로도 복지기동대와 소방서 간 긴밀한 협업체계를 통해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안전한 강진군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동네 복지기동대는 ‘이웃의 어려움은 이웃이 살핀다’는 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