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우체국 중고폰 매입가, 시세보다 낮아 불만 폭주


우체국 중고폰 매입이 4일 만에 1,500대를 넘었지만 매입가는 최근 시세보다 턱없이 낮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접근성'과 '신뢰성'을 빌미로 시장에 어두운 중장년층이 휴대폰을 헐값에 팔도록 간접적으로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휴대폰을 팔려고 우체국에 갔다가 가격이 너무 낮아 다시 돌아왔다'는 네티즌 의견을 온라인상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중고나라' 등 온라인 중고 매매 커뮤니티의 휴대폰 거래가는 우체국 매입가와 괴리가 크다. 우체국 가격이 시세의 반도 안 되는 모델 또한 많다.

중고 사이트에서 아이폰4(16GB)는 평균 7만 원대에, 갤럭시S3 LTE는 10만 원 초반대에 거래되고 있다. 갤럭시노트3의 우체국 매입가는 20만 원이지만 중고 시세는 30만 원이 넘는다.

거기다 우체국은 모든 폴더폰을 1,500원에 사고 있다. 일부 네티즌들은 이에 대해 '우체국까지 가는 왕복 차비도 안 나오겠다', '1,500원 받을 거면 추억삼아 남겨두는 편이 낫겠다'고 지적했다.

중고 시세가 몇만 원은 되는 폴더폰도 많다. 참고로 LG전자 와인폰4는 현재 중고 판매가가 6만 원대에 형성되어 있다.

우체국이 매입하는 모델도 한정적이다. 우체국 관계자는 "매입 업체가 판단하기에 중고 가격이 너무 낮은 모델은 아예 매입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물론 우체국 중고 휴대폰 매입 서비스가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개인이 일일이 중고 거래자를 찾아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전국 221개 주요 우체국을 찾아가 휴대폰을 판매하면 바로 계좌에 현금이 들어온다. '내 휴대폰 속 개인정보가 유출되지는 않을까'하는 걱정도 덜 수 있다.

우체국은 휴대폰 속 개인정보를 데이터 삭제 솔루션을 통해 지우고 있으며 삭제한 개인정보 내역은 이메일로 전송해준다.

업계에 따르면 매입한 폴더폰은 모두 폐기 처분되고 스마트폰은 동남아 국가 등으로 수출되거나 알뜰폰 업체를 통해 중고폰으로 재판매된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