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본격 시행 임박…국내 기업 대응 전략 주목

탄소 배출량 많은 수입품에 관세 부과하는 CBAM, 국내 기업의 탄소중립 전략 가속화 예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본격 시행을 앞두면서 국내 기업들의 대응 전략이 주목된다. CBAM은 탄소 배출량이 많은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로, 오는 2026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CBAM 시행은 국내 기업들에게 탄소중립 전환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높은 탄소 배출량으로 인해 CBAM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업종들은 선제적으로 탄소 감축 노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철강, 시멘트, 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정부는 CBAM 대응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탄소 감축 기술 개발 지원, 컨설팅 제공, CBAM 관련 정보 제공 등을 통해 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노력 없이는 CBAM 시행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내 기업들은 CBAM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에너지 효율 개선,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CCS) 활용 등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탄소 배출권 거래제(ETS) 참여를 통해 탄소 배출권을 확보하고 관리하는 전략도 중요하다.

 

CBAM은 단순히 관세 부과를 넘어 글로벌 탄소 감축 노력을 가속화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글로벌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탄소중립 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이는 단순한 비용 절감 차원을 넘어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과제이다.

 

앞으로 CBAM 시행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성과와 정부의 지원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중소·중견기업들의 CBAM 적응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