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유럽연합(EU)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 의무 강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글로벌 기업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기업들의 복잡한 ESG 데이터 수집 및 보고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공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려는 EU의 선도적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기존 ESG 공시는 기업들이 수많은 데이터를 수동으로 취합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높은 인적, 시간적 비용을 초래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표준화되지 않은 보고 방식과 데이터의 일관성 부족은 투자자들의 정보 해석에 어려움을 주었으며, 이른바 '그린워싱'과 같은 불투명한 관행을 조장할 수 있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EU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AI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AI 기반 ESG 공시 시스템은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강력한 역량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공급망 전반의 탄소 배출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예측하고, 협력업체의 노동 관행 준수 여부를 문서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검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0월 현재,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보 공시 의무가 더욱 엄격해지고 있으며 이는 기업 경영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과거 자율적 공개 영역으로 여겨졌던 ESG 정보가 이제는 재무 정보와 동등한 수준의 중요성을 가지며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은 2024년부터 일부 대기업에 적용되기 시작하여 그 범위가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역시 기후 관련 공시 규칙을 강화하고 있다. 국제회계기준(IFRS)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개발한 IFRS S1, S2 기준은 전 세계적인 지속가능성 공시의 표준을 제시하며 기업들에게 통일된 보고 체계를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글로벌 규제와 기준들은 기업이 단순한 성과 지표를 넘어선 심층적인 ESG 리스크 및 기회 요인을 분석하고 공시하도록 강제한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내부 경영 시스템 전반에 걸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G 데이터를 수집하고 검증하는 과정은 물론, 이를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유럽연합(EU)의 공급망 실사 의무화 법안(CSDDD) 시행이 임박하면서 한국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리스크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2025년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될 이 법안은 EU 역내 기업뿐만 아니라 EU에 제품을 공급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외 기업에게도 직접적, 간접적 영향을 미쳐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인 대응이 절실하다. CSDDD는 기업들이 자체적인 공급망 내에서 인권 침해 및 환경 파괴 행위를 식별하고 예방, 완화할 의무를 부과한다. 이는 아동 노동, 강제 노동, 부적절한 작업 환경 등 인권 문제와 온실가스 배출, 생물 다양성 파괴 등 환경 문제 전반을 아우른다. 특히 직접적인 계약 관계에 있는 1차 협력사를 넘어 2차, 3차 협력사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반에 걸쳐 실사 의무를 적용한다는 점에서 그 파급력이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대다수 기업이 EU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자동차, 전자, 화학 등 주요 산업군은 물론, 이들 산업에 부품이나 원자재를 공급하는 중소·중견기업들도 CSDDD의 영향권에서 벗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2025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글로벌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보고 의무가 한층 더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새로운 공시 기준이 주요 국가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에 걸친 탄소 배출량, 특히 스코프 3(Scope 3) 배출량 공개에 대한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재무 보고를 넘어선 기업의 환경적 책임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요구한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운영 방식과 전략 수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을 가진 제조업체나 소비재 기업들은 당장 자사뿐만 아니라 협력업체들의 탄소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검증하는 데 막대한 자원과 시간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자율적 선택 사항이었던 정보들이 이제는 필수적인 공시 항목으로 자리 잡으며, 기업들은 새로운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과 투명성 강화를 위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 투자 시장에서도 ESG 정보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주요 연기금과 자산운용사들은 ESG 성과를 기업 가치 평가의 핵심 지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0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에 대한 요구가 고조되는 가운데, ESG 데이터의 투명성과 신뢰성 확보가 최우선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각국 정부와 규제 기관이 공시 의무를 강화하면서, 기업들은 지속가능성 보고의 정확성에 대한 압박을 더욱 크게 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그린워싱' 논란을 해소하고 진정한 ESG 성과를 검증하기 위한 AI 기술의 역할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유럽연합의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과 국제회계기준(IFRS)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S1, S2) 도입 등은 기업들에게 재무 정보만큼이나 ESG 정보의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공개를 요구한다. 이는 단순한 정보 공개를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 전략과 실제 성과가 일치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수준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 보고하는 과정에서 정확성과 효율성 모두를 확보해야 하는 복합적인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규제 환경 변화와 함께, 그린워싱 문제의
Daily Yeonhap (SNSJTV) | Reporter-in-training Yerin Kim | From overflowing food waste to corrupted governance, today’s challenges show how closely industry, society, and the nature are linked. A youth-led ESG project has been developed as practical solutions led by students in Korea and Mongolia. These are hands-on, step-by-step efforts to create real change for the future—not slogans. Yet, in 2024, over 70% of Korean companies published ESG reports, but many exaggerated progress through greenwashing. High-emission industries worsen climate disasters, hitting rural and low-income communities h
By Minjeong Seo, Student Reporter (SNSJTV / Daily Union)| As South Korean companies stall on ESG progress, students at SALT International School are taking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ESG has become a fixture in corporate boardrooms, yet the gap between promises and practice continues to wide— especially in South Korea. But while corporations hesitate, A group of teenagers calling themselves ACTizens is proving that real change doesn’t always require big budgets or corporate mandates. Through hands-on projects, they are turning ESG from a buzzword into a daily routine. This article takes a t
By Aran Na, Student Reporter, SNSJTV / Daily UnionㅣWhile corporations argue about the costs of sustainability, South Korean teenagers are simply doing it. Now, a group of South Korean teenagers is challenging that view. The “SIA ACTizens” team from SALT International School is asking a pointed question: Is consistent action the real solution? Their campaign goes beyond a typical school project, directly targeting what they see as adults’ “greenwashing” habits. Globally, ESG has become a benchmark for corporate responsibility. Yet critics contend that it has struggled to live up to its prom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