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7.1℃
  • 맑음강릉 14.8℃
  • 맑음서울 10.3℃
  • 맑음인천 9.9℃
  • 맑음수원 8.6℃
  • 맑음청주 12.6℃
  • 맑음대전 11.0℃
  • 맑음대구 11.3℃
  • 맑음전주 12.0℃
  • 맑음울산 11.5℃
  • 구름많음광주 13.7℃
  • 구름많음부산 14.7℃
  • 구름많음여수 15.1℃
  • 구름많음제주 16.1℃
  • 맑음천안 8.2℃
  • 구름조금경주시 9.7℃
  • 구름많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교육/복지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학생선수단 메달순위 4위

“도내 운동부 계열화 정책 및 지원의 주요한 결과”

 

데일리연합 (SNSJTV) 김준 기자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은 지난 17일부터 23일까지 부산광역시 일원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강원학생선수단이 금메달 32개, 은메달 36개, 동메달 42개 등 총 110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8세 이하(고등부)에서 메달순위 4위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대회 획득한 100개 메달 수보다 10개가 늘어난 성과로 강원특별자치도 종합순위 6위에 큰 기여를 했다.

 

고등부 학생선수들의 주요성과는 다음과 같다.

 

- 종합우승(1종목): 테니스(2연속 우승)

 

- 준우승(4종목): 소프트테니스, 사이클, 사격, 수구

 

- 3위(2종목): 태권도, 합기도

 

이번 대회 고등부 학생선수들의 강세 종목은 테니스, 사이클, 육상, 수영(경영), 역도, 레슬링, 합기도, 소프트테니스 종목으로 테니스(금2, 남고부 6연패, 여고부 2연패), 사이클(금5, 은7, 동2), 육상(금5, 은2, 동2), 수영(금3, 은3, 동9), 역도(금3, 은4), 레슬링(금2, 은2, 동6), 합기도(금2, 은1, 동2), 소프트테니스(금1, 은1, 동1)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강원체육고등학교가 금메달 16, 은메달 12, 동메달 19, 총 47개의 메달 획득으로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선수단의 총 메달의 43%의 메달을 획득하여 특수목적고등학교 목적에 부합하는 성과를 이뤘다.

 

도교육청의 ‘운동도 학력이다’라는 학교체육의 기조 아래 지역에서 성장할 수 있는 학교운동부 계열화 정책이 이번 대회 주요 성과로 작용했다.

 

또한 2023년부터 실시한 우수 학생선수 및 학교운동부지도자 국외체험연수의 대상자들이 수영, 사이클, 펜싱, 카누, 역도, 테니스, 양궁, 소프트테니스 등 다양한 종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신경호 교육감은 “이번 전국체전에서 우리 학생 선수들의 성과는 실로 눈부셨다. 최선을 다해준 학생들에게 너무 감사하다.”라며 “운동도 학력이다. 우리 학생선수들이 지역에서 성장하고 경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