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여론몰이를 악용하는 '甲'질의 블랙컨슈머


 


요즘 ‘갑(甲)질’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여론몰이를 악용해 활개를 치는 '블랙컨슈머' 들이 있다. 

식음료, 패션 유통업계에선 평소보다 많은 블랙컨슈머들로 인해 골머리가 아프다. 유통업계 종사자들은 여차하면 무릎을 꿇거나 고객이 뱉은 침을 맞는 모욕도 견뎌 내야 한다.

올 초 A백화점 매장 직원은 고객으로부터 욕설을 들었다. 고객 실수로 제품에 물 빠짐이 생겨 교환을 못해준다고 고객에게 응대하자, 갑자기 고객은 매장 직원에게 폭언을 했다. 그러면서 욕설고객은 세탁소에서 잘못한 것이지만, 어쨌든 백화점 측에서 대신 세탁소에 항의해 상품 가격을 받아 내달라는 억지를 부리기도 했다.

또 다른 고객은 구매한 패딩(구스다운)에서 털이 빠진다며 불만을 제기했다. 매장 직원은 “박음 선에 따라 털이 약간 빠질 수 있는데 일정량 이상의 털이 빠질 경우 제품하자이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심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설명을 들은 고객은 심의기간 중 입을 수 있는 옷을 백화점 측에 제공해 달라는 다소 황당한 제안을 한다. 하지만 매장 직원이 불가하다고 하자 그 자리에서 패딩을 던지고 소란을 피웠다.

블랙컨슈머들의 횡포는 대형마트에서도 일어난다. PB 토마토 주스를 구매한 고객이 먹고 남은 주스를 냉장 보관하다 유통기한이 지난 것을 알고 버리기 위해 꺼내놓는데 이후 토마토 주스를 버리기 위해 뚜껑을 열자 주스 잔여물이 벽지로 튀게 된다. 이후 이 고객은 얼룩 값으로 벽지 교체 비용 등 200만원을 요구했다.

당연히 대형마트는 피해보상을 해줄 수 없다고 고객에게 전했지만, 이 고객은 오히려 “보상을 안 해주면 유통기한이 지났던 상품을 사왔는데 배상은커녕 환불조차 해주지 않았다는 식으로 인터넷에 올리겠다”며 협박했다. 이어 “PB제품이라서 피해가 클 테니 원하는 돈을 주면 없었던 일로 해주겠다며 합의하자고 요구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고성을 지르고 억지를 부리면 원하는 대로 해준다는 생각을 하는 고객들이 많다”며 “심한 경우 매장에 침을 뱉거나 매장 직원에게 무릎 꿇기를 강요하는 일도 있으며 무릎을 꿇린 상태에서 자신의 말을 복창하기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김준호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 연준, 예상 밖 '비둘기파' 전환 시사...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현지시간) 새벽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예상치 못한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기조 변화를 시사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의사록은 최근 발표된 고용 및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포함하며, 일부 위원들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조기에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그동안 유지되어 온 '고금리 장기화'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번 발표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강력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금리는 즉각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달러화 가치도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상승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잠재적 경기 둔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준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신호와 맞물려 더욱 큰 파장을 예고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주요 경제권에서도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