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정규직, 청년층에서만 줄어

청년층이 정규직에서 갈수록 소외받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2014 비정규직 노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으로 정규직에서 일하고 있는 청년층(15~29세)은 240만명이다. 2005년의 260만5000명보다 오히려 20만명 정도 줄었다.

같은 기간 정규직 숫자가 감소한 연령대는 청년층이 유일하다. 30~39세는 314만5000명에서 375만5000명으로 41만명 늘었고, 50~59세는 106만9000명에서 242만8000명으로 약 136만명 증가했다.

청년층은 일자리를 구하더라도 비정규직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해 20대 취업자 수는 5만6000명 증가하면서 2002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20대 신규 취업자 중 5만명 정도가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늘어 안정적인 일자리 증가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별로 봐도 20대 임시근로자는 정규직과는 거리가 멀었다. 15~29세 시간제 근로자는 지난해 기준으로 56만9000명에 이르는데 30대와 40대 시간제 근로자를 합친 것만큼의 규모다.

전체 비정규직에서 20대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8월 기준으로 17.9%에 달했다. 1년 전보다 0.6%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같은 기간 30~50대는 모두 비정규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했다.

성장 없는 고용이 반복되면서 청년층이 정규직 일자리를 구하기가 계속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고용탄성치는 0.62로 2013년보다 0.09포인트 올랐다. 고용탄성치는 취업자 증가율을 경제성장률로 나눈 것이다. 고용탄성치가 오르고 있다는 것은 경제성장세가 정체된 반면 취업자는 증가했다는 의미다.

경제 규모가 그대로인 상황에서 취업자 수만 늘다보니 일자리의 질은 떨어지게 된다. 올해도 한국은행을 비롯한 주요 경제기관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낮추고 있어 일자리의 질이 좋아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김준호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 연준, 예상 밖 '비둘기파' 전환 시사...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현지시간) 새벽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예상치 못한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기조 변화를 시사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의사록은 최근 발표된 고용 및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포함하며, 일부 위원들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조기에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그동안 유지되어 온 '고금리 장기화'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번 발표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강력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금리는 즉각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달러화 가치도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상승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잠재적 경기 둔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준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신호와 맞물려 더욱 큰 파장을 예고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주요 경제권에서도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