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서울 아파트값 5주째 상승

서울의 아파트값이 5주 연속으로 상승했다.
 
전셋값이 오르자 매매 수요가 늘면서 강남지역 중소형 아파트값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29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주 전보다 0.09% 올랐고 상승률도 전주(0.06%)보다 상승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지방 모두 0.09%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제주(0.24%)·대구(0.21%)·광주(0.19%)·경북(0.13%)·충남·(0.12%)·경기(0.10%)·서울(0.08%)순으로 많이 올랐다.

서울은 0.08% 오르며 5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강 이북지역(0.06%)은 지난주보다 상승률이 0.01%포인트 줄었지만, 한강 이남(0.09%)지역은 전주(0.06%)대비 오름폭이 확대됐다.

자치구별로는 성동(0.18%)·강남(0.16%)·금천(0.13%)·구로(0.12%)·강동·동대문(0.11)·강서구(0.1%) 등이 올랐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14% 상승했다. 저금리로 월세 전환이 늘면서 전세매물이 부족해진데다 재건축단지 이주수요, 겨울방학 학군수요 등이 몰리면서 상승률이 0.02%포인트 커졌다.

서울·수도권은 0.19%, 지방은 0.09% 올랐으며 시·도별로 광주(0.23%)·대구(0.21%)·서울(0.2%)·경기(0.19%)·충남(0.18%)·제주(0.17%)·인천(0.14%)·충북(0.13%)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서울은 0.20%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 이북지역(0.13%) 상승 폭은 지난주와 같았고, 이남지역(0.26%)은 전주(0.2%)보다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치구 별로 강동(0.62%)·서초(0.34%)·성동(0.33%)·송파(0.29%)·강남(0.28%)·동대문(0.26%)·광진(0.24%)·구로구(0.22%) 순이었다.

김준호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 연준, 예상 밖 '비둘기파' 전환 시사...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현지시간) 새벽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예상치 못한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기조 변화를 시사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의사록은 최근 발표된 고용 및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포함하며, 일부 위원들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조기에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그동안 유지되어 온 '고금리 장기화'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번 발표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강력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금리는 즉각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달러화 가치도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상승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잠재적 경기 둔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준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신호와 맞물려 더욱 큰 파장을 예고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주요 경제권에서도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