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뉴스 이용매체, 방송·종이신문 줄고 모바일 증가


지난해 지상파 방송 뉴스 이용률이 크게 떨어졌고 종이신문을 통한 뉴스 소비도 하락한 반면, 모바일을 이용한 뉴스 이용은 증가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30일 발표한 `2014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지상파 방송을 통한 뉴스 이용률은 84.7%로 2013년 대비 9.1% 줄었다.

이 비율은 2011년 95.3%, 2012년 94.7%, 2013년 93.8%로 소폭 줄어들다가 지난해 감소폭을 크게 키웠다. 지난해 지상파 방송을 통한 뉴스 이용 감소는 모든 연령대에서 마찬가지였으나, 특히 20대(83.4%→65.4%)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종이신문을 통한 뉴스 이용은 2013년 33.8%에서 지난해 30.7%로 3.1%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은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나타났으나, 20대의 경우 종이신문을 통한 뉴스 이용이 16.4%에서 17.6%로 소폭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뉴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을 보면 고정형 인터넷의 경우 2013년 50.7%에서 지난해 47.7%로 3.0% 포인트 줄어든 반면, 이동형(모바일) 인터넷은 55.3%에서 59.6%로 증가했다. 이동형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률은 2011년 19.5%에서 3년만에 3배로 급증했다.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뉴스 이용도 19.9%에서 20.7%로 증가했고, 언론사닷컴 뉴스 소비도 13.0%에서 14.8%로, 포털 뉴스 소비도 65.3%에서 65.9%로 소폭 늘었다.

미디어 전체 이용률은 텔레비전이 2013년 96.8%에서 지난해 94.4%로 줄었고 종이신문은 33.8%에서 30.7%로 감소했다. 라디오도 28.6%에서 23.4%로, 잡지는 11.1%에서 5.3%로 이용률이 각각 축소됐다.

뉴미디어 이용률은 이동형 인터넷이 68.0%에서 69.5%로 늘었지만, 고정형 인터넷은 64.4%에서 57.8%로 감소했다. SNS 이용률도 55.4%에서 49.9%로 감소해 모바일을 제외하고는 이용률이 줄었다.

김준호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 연준, 예상 밖 '비둘기파' 전환 시사...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현지시간) 새벽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예상치 못한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기조 변화를 시사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의사록은 최근 발표된 고용 및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포함하며, 일부 위원들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조기에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그동안 유지되어 온 '고금리 장기화'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번 발표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강력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금리는 즉각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달러화 가치도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상승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잠재적 경기 둔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준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신호와 맞물려 더욱 큰 파장을 예고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주요 경제권에서도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