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한국 브랜드 가치 돈으로 환산한 결과 발표



 

우리나라의 브랜드 가치를 돈으로 환산한 수치와 순위가 공개돼 화제다.

영국 브랜드파이낸스가 12일 발표한 '2014 국가 브랜드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브랜드 가치 순위는 전년도(7천750억 달러)와 비교해 29% 증가했지만 순위는 그대로인 16위에 머물렀다.

한국은 총 100개 국가 가운데 9번째로 브랜드 가치가 많이 올라가 '우수 국가(Best Performer)'로 뽑혔다.

카타르·방글라데시(39%), 스리랑카·카자흐스탄(37%), 아일랜드·필리핀(35%), 콜롬비아(32%), 베트남(30%) 등이 한국의 성장률을 추월했다.

브랜드 가치가 가장 높은 국가는 미국(19조2천610억 달러)으로 2010년이후 5년 연속 1위를 지켰다.

미국에 이어 중국(6조3천520억 달러), 독일(4조3천570억 달러), 영국(2조8천330억 달러), 일본(2조4천580억 달러) 순으로 브랜드 가치가 높았다.

이 가운데 영국의 브랜드 가치는 2013년(2조3천540억 달러)보다 20% 높아져 다른 유럽국가들 가운데 단연 부각됐으며 이는 정부 차원의 국가 브랜드 캠페인이 효과를 봤기 때문이라고 브랜드파이낸스는 설명했다.

또 캐나다(2조2천120억 달러), 프랑스(1조9천380억 달러), 인도(1조6천210억 달러), 호주(1조5천550억 달러), 브라질(1조4천30억 달러)이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이밖에 이탈리아(1조2천890억 달러), 러시아(1조1천670억 달러), 스위스(1조1천510억 달러), 멕시코(1조270억 달러), 네덜란드(1조260억 달러)가 차례로 15위까지 올라 한국을 앞섰다.

한편 브랜드파이낸스는 재화서비스·관광·인력·투자 등 4개 분야의 투입량, 처리량, 산출량을 평가해 BSI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총생산(GDP), 위험요소, 장기 성장률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국가 브랜드 가치를 산출했다.
 


김준호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 연준, 예상 밖 '비둘기파' 전환 시사...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현지시간) 새벽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예상치 못한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기조 변화를 시사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의사록은 최근 발표된 고용 및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포함하며, 일부 위원들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조기에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그동안 유지되어 온 '고금리 장기화'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번 발표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강력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금리는 즉각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달러화 가치도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상승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잠재적 경기 둔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준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신호와 맞물려 더욱 큰 파장을 예고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주요 경제권에서도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