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10.2℃
  • 맑음서울 6.8℃
  • 맑음인천 7.6℃
  • 맑음수원 4.3℃
  • 박무청주 6.9℃
  • 박무대전 5.6℃
  • 박무대구 6.5℃
  • 박무전주 7.0℃
  • 구름많음울산 10.3℃
  • 박무광주 8.8℃
  • 구름많음부산 12.6℃
  • 구름많음여수 13.2℃
  • 구름많음제주 15.4℃
  • 맑음천안 3.0℃
  • 구름조금경주시 5.4℃
  • 구름많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인기 게임업체 넷마블, 엔씨소프트 자사주 매입

 


국내 주요 게임 업체인 넷마블과 엔씨소프트가 사실상 '동맹' 관계를 맺었다.

17일 엔씨소프트(036570)는 공시를 통해 자사주 195만주(총 지분중 8.93%)를 주당 20만573원 가격으로 매각한다고 밝혔다.

엔씨소프트 자사주 인수자는 넷마블게임즈다. 넷마블은 총 3911억1735원의 엔씨소프트 자사주를 매입한다. 주식 양수도 계약 체결일은 전날인 16일이었다.

16일 오후 6시 엔씨소프트가 넷마블 지분 9.8%, 3500억원어치를 인수했다고 공시했다. 이를 통해 엔씨소프트는 방준혁 넷마블 고문, CJ E&M, 중국 텐센트에 이어 넷마블 4대주주로 자리매김했다.

양사가 서로의 지분을 나눠 가지면서 양사간 상호 협력도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엔씨소프트 측은 사업 제휴 및 공동 사업 추진을 위한 목적으로 자사주 매각, 넷마블 지분 인수를 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내용을 주제로 17일 오전 기자 회견도 열 방침이다.

넷마블 게임즈는 ‘세븐 나이츠’, ‘모두의 마블’, ‘몬스터 길들이기’ 등을 성공시키며 국내 모바일 게임 업체로는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온라인 다중역할수행게임(MMORPG) ‘엘로아’ 서비스를 시작했다. 엘로아는 온라인 분야에서 약세를 보였던 넷마블의 야심작이기도 하다.

넷마블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035억원이다. 전년(2013년) 대비 40.6% 증가한 액수로 넷마블 사상 최대다. 같은 기간 매출은 12.8% 증가한 5756억원이다.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리니지, 아이온 등 기존 게임의 실적 호조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거둔 바 있다.

엔씨소프트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6% 증가한 2782억원, 매출은 같은 기간 11% 증가한 8380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엔씨소프트는 뚜렷한 모바일 전략이 없다는 게 약점으로 지적된다. 이 때문에 최대 주주인 넥슨은 엔씨소프트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적응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업계에서는 양사간 협력은 서로의 약점을 보완한다는 측면에서 상호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더욱이 엔씨소프트가 넥슨을 배제한 채 넷마블과의 협력을 강화한다면 엔씨소프트-넥슨 간 경영권 분쟁도 새 국면을 맞을 전망이다.

엔씨소프트는 지난 11일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M&A 등 미래 투자 수요를 위해 자사주를 남겨놓아야 한다’고 분명히 했다. 자사주 소각은 넥슨의 주요 요구 사안중 하나다. 넥슨은 주주 가치 증대를 위해 자사주 소각을 요구했다.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앤씨소프트, 넷마블 사실상 '혈맹' 이네", "재밌는 소식이다",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 등의 다양한 반응을 나타냈다.

윤병주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