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딱딱한 뇌혈관, 뇌졸중 사망률 높인다

데일리연합 김혜정기자] 뇌혈관이 딱딱한 경우 뇌졸중 사망률이 높다는 연겨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22일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신경과 김진권 교수팀은 급성뇌경색 환자 혈관이 딱딱할수록 그렇지 않은 뇌졸중 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약 2.22배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급성 뇌경색으로 입원한 환자 1765 명을 환자당 평균 3.3 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실제로 동맥강직도(혈관이 딱딱한 정도)가 높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의 비교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예를들어 약 6년째 뇌줄중을 앓고 있는 동맥강직도가 낮은 군에서의 환자는 전체 사망률(혈관계 사망률 + 비혈관계 사망률)이 약 9%로 나타난 반면에 높은 군에서의 전체 사망률은 29%로 나타나 동맥 강직도가 높은군에서 사망률이 더 높게 나타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관 강직도는 특정 검사 기계를 통하여 팔 다리의 맥박을 측정해 계산하는데 동맥강직도는 환자의 나이 등에 따라 많은 변수가 있어 정상 기준치가 상대적이다. 때문에 연구결과도 환자 1765명의 동맥강직도 수치를 총 1/3씩 나누어 낮은군(17.79 m/s이하, 590명), 중간군(17.79~22.63 m/s, 587명), 높은군(22.63 m/s이상, 588명) 으로 분류해 추적 관찰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뇌경색은 뇌혈관 막힘으로 인해 혈액공급이 중단됨으로써 뇌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주요 발병 원인으로는 동맥경화증을 꼽는다.

일반적으로 동맥경화증이라고 하면 혈관이 좁아지거나 기름때가 껴서 혈관이 막힌다고 이해하기 쉽지만 실제로 동맥경화증은 혈관이 좁아질 뿐만 아니라 딱딱해지는 것을 말하고, 혈관이 딱딱한 사람은 동맥경화증이 심하다고 볼 수 있다.

또 뇌경색의 사망원인이라고 하면 크게 혈관질환계(뇌졸중, 심장질환 등) 사망과 비혈관질환계 (당뇨병 합병증이나 신장질환 등) 사망으로 나뉘는데 비혈관질환계 사망인 경우에도 동맥강직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연구를 진행한 김진권 교수는 “동맥강직도가 높은 사람들은 자신이 주의해야 할 고위험군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반드시 집중적인 약물치료와 운동, 식습관 개선, 금연 등의 예방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기획]'책 권하는 도시' 시흥시...시민과 올해의 책 선정 등 독서문화 꽃피워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의 2023년 국민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종합독서율은 43.0%에 불과하다. 1994년 86.8%에 비해 절반 이하로 감소한 수치다. 시흥시는 시민의 독서율을 높이고 독서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시민과 함께 매년 ‘올해의 책’을 선정하고 근로자와 독서취약계층에게 독서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사람도서관과 디지털 특화 서비스 등을 통해 독서의 영역 역시 확장하고 있다. 더불어 공공도서관, 작은도서관, 지역서점, 산업단지, 골목상점, 카페, 학교 등은 유기적 네트워크를 형성해 건강한 독서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누구나 일상에서 책과 함께할 수 있는 도시, 독서 권하는 시흥시의 시민참여형 독서문화정책을 살펴본다. 시민이 직접 선정하는 ‘시흥 올해의 책’ 독서릴레이로 ‘활짝’ 시흥시 대표적 독서문화정책인 ‘시흥 올해의 책’ 사업이 올해로 3년째를 맞았다. 2023년 ‘시흥 한 책’ 사업으로 시작해 2024년 ‘올해의 책’으로 확장된 이 사업은 시민이 직접 추천과 투표로 도서를 선정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