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애플 연일 상종가, 시가총액 1조 원대 가나?


 

데일리연합 남성현기자] 높은 주가를 올리고 있는 애플의 한계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지시간 24일 애플의 시가총액이 세계 증시 사상 처음으로 1조 달러에 이를 수 있을지 투자자들에게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현재 전 세계 시가총액 제1위 기업인 애플의 주가는 지난 23일까지 최근 9 거래일 중 8일간 신고가 행진을 이어 갔다. 24일에는 거침없었던 상승세 탓이었는지 주춤, 0.62% 하락한 132.17 달러로 끝났다. 시가총액은 약 7천700억 달러다.

이제 투자자들과 시장의 관심은 애플의 시가총액이 세계 어느 주식도 도달한 적이 없는 1조 달러를 돌파하느냐에 쏠리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마이크로소프트나 IBM 같은 다른 기술기업들도 고공행진을 하다가 끝없는 추락을 경험한 바 있어 애플이 이런 전례를 깰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애널리스트들도 시장이나 투자자들의 관심에 부응해 목표주가를 끌어올리며 이런 분위기에 불을 지피는 중이다.

골드만삭스는 지난주 애플의 목표주가를 145달러로 상향조정했다.

제일상하이증권(First Shanghai Securities)도 목표주가를 165달러까지 끌어올렸다. 이 지점까지 가면 시가총액은 9천660억 달러로 1조 달러의 턱밑까지 오르게 되는 셈이다.

최근 애플 주식은 아이폰 판매 호조, 수익전망 상향, 자사주 매입과 배당, 자동차 등 신제품 출시 전망 등의 호재가 겹쳐 올해 들어서만 이미 19% 올랐다. 애플을 제외한 S&P 500지수의 다른 10대 종목이 총 670억 달러가 빠진 것과 대조적이다.

슈로더의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제임스 고트리는 FT에 "많은 투자자가 (애플 주식의) 추가 확보를 위해 기꺼이 돈을 쓸 준비가 돼 있기 때문에 시가총액 1조 달러는 앞으로 2년 내에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소비자 상대 기술기업으로 모토로라와 닌텐도, 노키아처럼 급등과 급락을 거듭할 수도 있지만, 애플은 결제와 헬스케어, 비츠(음악 스트리밍)처럼 소비자들을 사로잡을 품목들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게 고트리의 설명이다.

하지만, 애플의 미래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경쟁업체들이 상승세를 타던 지난 2012~2013년에 애플에는 미래에 대한 우려가 덮치면서 45%나 폭락했던 사실을 많은 투자자가 기억하고 있다는 것이다.

너빈애셋매니지먼트의 밥 돌은 FT에 "여건이 좋아 보이지만 언젠가는 다시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면서도 확신만 선다면 투자해 볼 수 있다는 생각을 나타냈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