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9.9℃
  • 맑음서울 6.4℃
  • 맑음인천 7.4℃
  • 맑음수원 4.0℃
  • 박무청주 6.1℃
  • 박무대전 5.3℃
  • 박무대구 6.0℃
  • 박무전주 6.6℃
  • 구름많음울산 8.7℃
  • 박무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여수 13.0℃
  • 구름많음제주 15.3℃
  • 맑음천안 2.9℃
  • 구름많음경주시 4.7℃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국제

홍콩, 마카오 갈수록 늘어나는 중국 관광객에 대책 마련

데일리연합 윤병주기자] 연일 늘어가는 중국인 관광객 때문에 물가 상승 등 문제에 시달리는 홍콩과 마카오가 중국인 방문객 수 줄이기에 나서 주목된다.

24일(현지시간) 렁춘잉(梁振英) 홍콩 행정장관(행정수반)은 행정회의 참석 전 "다음 달 베이징(北京)에서 중국 중앙정부 인사들과 만나 중국인 방문객 수를 제한하는 방안을 제안하겠다"고 밝혔다고 빈과일보(빈<초두머리 아래 頻>果日報)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현지 언론매체가 25일 보도했다.

렁 장관은 "중국인 관광객 때문에 홍콩 시민의 일상생활이 영향을 받는 점을 알고 있다"며 "다음 달 3일 시작하는 중국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참석해 관광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개인 자격으로 홍콩을 방문하는, 즉 자유여행(自由行)이 가능한 중국의 도시 수를 늘리는 방안에도 반대 견해를 나타냈다.

전인대 홍콩 대표 중 한 명인 마이클 톈(田北辰) 신민당(新民黨) 부주석이 최근 자유여행 적용 도시 수를 현재의 49개에서 52개로 늘리는 방안을 전인대에 제출하겠다고 밝히자 홍콩 시민이 지난 22일 톈 의원 사무실 앞에서 이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그러나 렁 장관은 "정치적인 의도를 가진 소수 사람들이 시민의 불만을 이용해 쇼핑몰 등에서 불법 시위를 벌이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최근 3주 연속으로 주말에 벌어진 중국인 입경 반대 시위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홍콩을 방문한 중국인은 2003년 약 800만 명이었지만, 홍콩과 맞닿은 선전(深천<土+川>)시 시민에 대한 비자 발급 요건이 완화된 2009년 이후 급증해 작년에는 4천720만 명에 달했다.

앞서 알렉시스 탐(譚俊榮) 마카오 사회문화사(社會文化司) 사장(장관격)은 지난 23일 TV 토크쇼에 출연해 "과밀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인 방문객 수를 제안하는 방안을 중국 중앙 정부와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작년 마카오를 방문한 관광객 3천150만 명 가운데 3분의 2 이상을 중국인이 차지할 정도로 많았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