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9.9℃
  • 맑음서울 6.4℃
  • 맑음인천 7.4℃
  • 맑음수원 4.0℃
  • 박무청주 6.1℃
  • 박무대전 5.3℃
  • 박무대구 6.0℃
  • 박무전주 6.6℃
  • 구름많음울산 8.7℃
  • 박무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여수 13.0℃
  • 구름많음제주 15.3℃
  • 맑음천안 2.9℃
  • 구름많음경주시 4.7℃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일본, 발광다이오드(LED) 이용한 고속통신 기술 상용화

데일리연합 윤병주기자] 일본이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한 고속통신 기술 상용화에 나서 눈길을 끈다.
 
2일 닛케이신문은 일본 총무성이 자금을 공급한 벤처 업체 램프서브가 오는 6월부터 LED 데이터 송수신기를 양산한다고 전했다.
 
램프서브 제품은 LED가 1초에 1억번 이상 깜빡이는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조명의 점멸을 이용해 데이터를 쓰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받아들이는 원리다.
 
스마트폰 사용으로 과부하가 예상되는 전파나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아 시설을 추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망 구축비용에서 기존 기술 대비 효율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회사는 올해 송수신기 1만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다. 이동통신 업체가 기지국에 연결해 전파를 사용할 수 없는 전력 변전소 등 통신에 활용될 전망이다. 데이터 통신 속도는 초당 5기가비트로 고화질 동영상도 송수신 가능하다.
 
일본 총무성 보조금 약 1억엔(약 9억원)으로 실증 실험도 거친다. 빛이 장애물에 가려져도 통신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등 기술을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누리꾼들은 "발광다이오드 고속통신 기술..." ,"좋은건가?", "기술력이 있네요" 등의 의견을 나타냈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