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사망원인 1위 암의 사회경제적 비용 14조로 나타나


데일리연합 김준호기자] 2012년 기준 암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14조원이 넘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암·심장질환·뇌혈관질환·자살·당뇨병 등 2012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은 5대 사망원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비용을 분석한 결과다. 2012년 통계청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인구 10만명당 사망률 순위는 암이 146.5명으로 1위이고, 이어 심장질환(52.5명), 뇌혈관질환(51.1명), 자살(28.1명), 당뇨병(23명) 등이다.

5일 건강보험공단 산하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5대 사망원인의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 보고서를 보면, 직접비와 간접비를 포함한 5대 사망원인으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8년 27조3천635억원, 2009년 28조1천845억원, 2010년 28조8천860억원, 2011년 31조4천990억원, 2012년 32조4천86억원 등으로 연평균 4.3%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직접비는 질병을 고치고자 의료기관이나 약국 등을 방문할 때 발생하는 입원, 외래치료 등 직접 의료비와 교통비, 간병비 등을 합친 비용이다. 간접비는 질병으로 조기 사망할 때 발생하는 미래소득 손실액과 직장결근으로 생기는 생산성 손실액을 더한 비용이다.

2012년 기준 5대 사망원인의 사회경제적 비용 중에서 암이 14조86억원(43.2%)으로 가장 많았고, 자살이 6조4천769억원(20.0%)으로 그 뒤를 이었다. 다음은 뇌혈관질환 5조1천297억원(15.8%), 심장질환 4조186억원(12.4%), 당뇨병 2조7천748억원(8.6%) 등의 순이다.

2012년 기준 직접비는 12조2천294억원(37.7%), 간접비는 20조1천793억원(62.3%)으로 간접비가 직접비보다 1.7배 높았다.

성별로는 2012년 기준 남자가 23조668억원(71.2%), 여자가 9조3천418억원(28.8%)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5배 많았다.

2012년 기준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8조8천596억원(27.3%)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다음은 50대 8조6천33억원(26.5%), 40대 7조3천791억원(22.8%), 30대 4조3천289억원(13.4%), 20대 2조1천573억원(6.7%), 10대 이하 1조803억원(3.3%) 등의 순이었다. 전체 사회경제적 비용의 76.7%가 40대 이상에서 발생했다.

각 연령대 안에서의 사망원인별 비용 순위를 살펴보면, 특히 20~30대에서는 자살,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당뇨병 등의 순으로 나타나, 생산성이 높은 20~30대에서 자살로 말미암은 사회경제적 비용이 많이 발생했다.

현경래 연구원은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사회경제적 비용순위는 사망률 순위와는 달리 암에 이어 자살로 말미암은 손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사회적 관점에서 질병에 우선순위를 둔 현행 보건의료제도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 연준, 예상 밖 '비둘기파' 전환 시사...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현지시간) 새벽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예상치 못한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기조 변화를 시사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의사록은 최근 발표된 고용 및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포함하며, 일부 위원들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조기에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그동안 유지되어 온 '고금리 장기화'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번 발표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강력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금리는 즉각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달러화 가치도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상승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잠재적 경기 둔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준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신호와 맞물려 더욱 큰 파장을 예고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주요 경제권에서도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