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9.9℃
  • 맑음서울 6.4℃
  • 맑음인천 7.4℃
  • 맑음수원 4.0℃
  • 박무청주 6.1℃
  • 박무대전 5.3℃
  • 박무대구 6.0℃
  • 박무전주 6.6℃
  • 구름많음울산 8.7℃
  • 박무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여수 13.0℃
  • 구름많음제주 15.3℃
  • 맑음천안 2.9℃
  • 구름많음경주시 4.7℃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국제

日 가장 위협적인 국가는 중국, 2위 북한

데일리연합 남성현기자] 일본인들이 가장 위협적으로 생각하는 국가는 중국이며 북한이 두 번째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일본정부가 지난 주말 배포한 설문조사를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이 보도했다.

일본 내각부는 올해 1월 8일~18일 사이에 1680명을 상대로 설문을 시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60%는 중국이 일본에 위협적인 존재라고 대답했다. 3년 전 같은 설문에서는 46%가 중국을 꼽았다.

반면 북한이 일본에 위협이 된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53%로(중복 응답 가능), 3년 전의 65%보다 줄었다.

“일본의 현재 군사력이 적절한 수준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0%가 군사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3년 전의 25%, 6년 전의 14%에 비해 늘었다. 적절하다고 답한 비율은 59%를 나타냈다.

미국을 제외한 군사 협력 상대로 적합한 국가를 묻는 질문에는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국가를 선택한 비율이 높았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반면 중국을 선택한 응답자는 3년 전에 비해 약 30%나 감소했다.

나카타니 겐 방위상은 이와 지난 주말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예산을 포함해 중국의 군사 안보정책에는 투명성이 떨어진다”면서 중국 정부에 “관련 정보의 공개를 지속적으로 요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과 일본은 동중국해에 있는 댜오위다오 열도(일본명 센카쿠)를 둘러싸고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중이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