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10.2℃
  • 맑음서울 6.8℃
  • 맑음인천 7.6℃
  • 맑음수원 4.3℃
  • 박무청주 6.9℃
  • 박무대전 5.6℃
  • 박무대구 6.5℃
  • 박무전주 7.0℃
  • 구름많음울산 10.3℃
  • 박무광주 8.8℃
  • 구름많음부산 12.6℃
  • 구름많음여수 13.2℃
  • 구름많음제주 15.4℃
  • 맑음천안 3.0℃
  • 구름조금경주시 5.4℃
  • 구름많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구글플레이 '예가(Yerga) 부사장', 한국 앱의 해외 진출 돕는다

데일리연합 윤병주기자] 19일 오전 구글코리아가 서울 역삼동 사무실에서 '구글 플레이와 함께 세계로 가는 한국 개발사'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구글 플레이의 크리스 예가(Chris Yerga) 부사장은 "지난해 한국 애플리케이션(앱)이 해외에서 거둔 매출이 전년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며 "특히 한국은 구글 플레이에 등록된 개발자 수가 가장 많은 다섯 국가 중 하나"라고 말했다.

2012년 3월 출시된 구글 플레이는 현재 전 세계 190개국에서 10억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개발자들이 구글 플레이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이 70억 달러(약 7조9000만 원)에 달한다.

이날 예가 부사장은 한국 개발자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구글의 현지화 및 수익화 도구에 대해 설명했다. 현지화 도구는 번역/ 구글 애널리틱스 / A&B 테스트 등이다. 예가 부사장은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 사용자들이 앱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며 "국가별 앱 사용 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효과적인 현지화 대응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는 구글 플레이를 통해 해외 진출에 성공한 한국 앱 개발자들도 참석했다. 실시간 필터카메라 앱 '레트리카'의 박상원 벤티케익 대표는 "G메일의 번역 기능을 활용해서 다양한 언어로 오는 피드백을 수용할 수 있었다"며 "구글 플레이 출시 전엔 두 달에 한 번 업데이트했으나, 출시 이후 업데이트 주기가 한 달에 두 번으로 빨라졌다"고 말했다.

김민석 스마트스터디 대표는 "철저하게 현지화된 서비스 전략으로 성공할 수 있었다"며 "특히 구글 플레이가 제공한 개발자 지원도구와 실시간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스마트스터디 시스템(NERV)'을 통해 얻은 발빠른 서비스 대응이 글로벌 공략의 발판이 됐다"고 말했다.

이에 예가 부사장은 "가장 신경쓰고 있는 부분은 해외 진출을 위한 공통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올해는 게임이 아닌 다른 앱들도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