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수도권 지역, 비타민 D 결핍율 다른 지역보다 더 높아


[데일리연합 이소현 기자]비타민 D 결핍 비율이 국내에서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경기 등 수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울산·창원·제주 지역은 결핍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 나은희 박사팀은 2013년 전국 13개 도시 16개 검진센터를 찾은 남녀 1만7252명을 대상으로 혈중 비타민 D 검사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검사 결과를 보면 서울 시민들의 비타민 D 결핍 비율은 10%에 달했다. 수원·인천·대구·충주·전주 시민들도 8%를 상회했다. 대전·광주·춘천 시민들 결핍 비율은 8% 수준이었다. 반면 부산 시민들은 2% 미만이었다. 울산·창원에서는 4%를 밑돌았고 제주에서는 4%를 웃돌았다.

나은희 박사는 "서울·경기 지역의 비타민 D 결핍 비율이 높은 것은 20∼30대 젊은 연령층이 많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라며 "산업화된 도시에서 실내 근무를 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서 그런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대전·광주·전주는 젊은층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비타민 D 결핍 비율이 높은 것은 직업·실외 활동량,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의 섭취 정도, 비타민 D 보충제 복용 여부 등이 관련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뼈 건강을 좌우하는 칼슘의 체내 흡수를 돕는 비타민 D가 결핍되면 골절·구루병(곱사병) 등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진다. 당뇨병·암·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도 높일 수 있다. 비타민 D는 햇볕을 받으면 피부에서 생성되므로 흔히 '선 샤인 비타민(sunshine vitamin)'으로 통한다. 특히 겨울에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낮은 것은 겨울에는 태양의 자외선 강도가 떨어지는 데다 날씨가 추워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기 때문이다.

사람 몸속 비타민 D는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와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 두 형태로 존재한다. 비타민 D2는 주로 식물에서 합성되고 비타민 D3는 주로 태양의 자외선에 노출됐을 때 피부에서 합성된다.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10 ng/㎖ 미만 결핍, 10∼30 ng/㎖ 미만 부족, 30 ng/㎖ 이상이면 충분한 것으로 분류한다.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학술지 'LMO(Lab Med online)' 4월호에 실렸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유성구, 민선8기 성과 기반 ‘지속가능 미래도시’ 밑그림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대전 유성구가 민선 8기 주요 공약과 핵심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준비에 속도를 낸다. 또한, 창업·돌봄·마을·문화 등 4대 혁신을 중심으로 모든 행정 분야에서 변화와 혁신을 강화하고, 구민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주력한다. 유성구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 동안 구청 대회의실에서 ‘2026년 주요업무계획 보고회’를 열고 부서별 주요 정책 방향과 추진 전략을 점검한다. 이번 보고회는 단순 업무 계획 공유를 넘어, 구정 전반의 혁신 전략을 재정비하고 실질적 성과 창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어궁동 혁신창업생태계 성장 지원과 브랜드화 ▲골목형 상점가 확대 ▲청년 지원센터 운영 ▲유성온천문화체험관 건립 등 지역 경제·문화 활성화를 위한 사업이 눈길을 끈다. 복지 분야에서도 변화가 두드러진다. 유성구는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를 목표로 ▲One-care 유성형 통합돌봄 ▲영유아 스마트 돌봄 서비스 확대 ▲장기 요양기관 등급제 도입 등을 추진한다. 기후 위기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