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중국~몽골~러시아~북한 잇는 '동북아 철도노선으로 '동해진출' 적극 추진


[데일리연합 이소현 기자]'동해출구' 확보에 공을 들여온 중국이 '차항출해'(借港出海·항구를 빌려 바다로 진출) 실현'을 강조하며 다시 한번 북한, 러시아 항구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 의지를 내보였다. 또한 중국 동북지역을 주축으로 한 북한-중국-러시아-몽골 등 4개국 간의 경제 협력도 한층 강화하고 유럽시장 진출을 위해 동해에서 출발하는 새로운 북극해 항로 개척도 추진키로 했다. 중국 지린(吉林)성은 최근 발표한 '지린성동부녹색전환발전구역총계획'에서 "러시아와의 자루비노항 건설 협력을 착실하게 추진하고 북한 항구를 적극적으로 개발해 이용하겠다"고 밝혔다고 신문화보(新文化報)는 15일 보도했다.

중국은 북한의 동해항만까지 도로, 철도를 연결해 육·해 복합운송을 활성화하면 중국 남방, 한국, 일본 등지를 오가는 항로 개설이 본격화하고 낙후한 동북지역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이미 2000년대 후반 나진항과 청진항 부두의 초장기(30~50년) 사용권을 확보한 중국은 2011∼2012년 수차례에 걸쳐 나진항을 이용해 중국 남방지역으로 석탄을 운송해왔다. 하지만 중국 내 석탄 가격 하락, 물동량 부족, 해당 항로의 낮은 경제성, 항구의 열악한 인프라 문제 등으로 적극적으로 이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린성은 또 이번 발표에서 철도, 도로, 공항 인프라 건설 등을 통해 동북지역의 국제적 협력을 가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린성은 중국~몽골~러시아~북한을 잇는 '동북아 철도노선'을 형성하는 등 기존의 '훈춘국제협력시범구', '옌지(延吉)국가중점개발개방시범구' 등을 기반으로 4국간 '협력틀'을 구축하겠다고 전했다. 신항로, 육로를 통한 대유럽 시장 진출도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지린성은 특히 사할린섬~캄차카반도~베링 해협을 거쳐 네덜란드, 영국, 노르웨이 등 유럽국가로 연결되는 '신북극해 항로'를 구축하겠다고 밝히고 "(이 노선은) 앞으로 '동북지역 해상 실크로드'의 전략적 거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핑(四平)~바이허(白河) 구간 여객운송 노선을 신설하고 지린시~투먼(圖們)시~훈춘시를 잇는 고속철 건설을 지속하는 등 지린성 동남지역의 고속철, 고속도로 네트워크를 확충키로 했다. 훈춘 등에는 8개의 공항이 건설된다. 또 중국 네이멍구 아얼산(阿爾山)~몽골 초이발산을 연결하는 철도를 새로 건설하고 훈춘~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고속철 건설사업도 검토키로 했다.

한편 지린성은 "주동적으로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전략에 융합할 것"이라며 이번 계획이 사실상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신(新)경제구상인 '일대일로'의 일환으로 탄생했음을 시사했다. 또 지린성 전 지역의 46%가 이 계획에 포함된다며 단기적으로는 2020년까지,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무단 절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유성구, 민선8기 성과 기반 ‘지속가능 미래도시’ 밑그림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대전 유성구가 민선 8기 주요 공약과 핵심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준비에 속도를 낸다. 또한, 창업·돌봄·마을·문화 등 4대 혁신을 중심으로 모든 행정 분야에서 변화와 혁신을 강화하고, 구민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주력한다. 유성구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 동안 구청 대회의실에서 ‘2026년 주요업무계획 보고회’를 열고 부서별 주요 정책 방향과 추진 전략을 점검한다. 이번 보고회는 단순 업무 계획 공유를 넘어, 구정 전반의 혁신 전략을 재정비하고 실질적 성과 창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어궁동 혁신창업생태계 성장 지원과 브랜드화 ▲골목형 상점가 확대 ▲청년 지원센터 운영 ▲유성온천문화체험관 건립 등 지역 경제·문화 활성화를 위한 사업이 눈길을 끈다. 복지 분야에서도 변화가 두드러진다. 유성구는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를 목표로 ▲One-care 유성형 통합돌봄 ▲영유아 스마트 돌봄 서비스 확대 ▲장기 요양기관 등급제 도입 등을 추진한다. 기후 위기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