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한국공항공사는 13일 주한 베트남 대사와 양국 간 항공 분야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삼청동 주한 베트남대사관을 방문해 응우옌 부 뚱(Nguyen Vu Tung) 주한 베트남 대사, 베트남항공·비엣젯항공 등 베트남 국적항공사 한국지사장들과 항공노선 재개, 공항개발사업, 도심 항공교통(UAM) 분야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양측은 한국-베트남 수교 30주년을 기점으로 한층 성숙한 상호협력과 교류를 시작할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2023~2024 한국방문의 해'를 계기로 기존 호치민, 다낭 노선 외 지방 공항 직항노선 개설과 노선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윤형중 사장은 공사의 해외 공항개발·컨설팅 사업 역량을 소개하고 베트남 롱탄신공항 개발사업과 노이바이공항 확장사업 등에 대한 협력 의사를 피력했으며 미래 항공교통의 기반이 될 공사의 UAM 사업 추진현황을 설명하며 베트남에서의 활용방안도 제시했다. 응우옌 대사는 "베트남은 한국어가 제1외국어로 채택될 정도로 실생활까지 한류가 보편화되어 있다"라며 "롱탄신공항 등 여러 공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한국과 베트남 양국은 지난 10일 오후 베트남 하노이에서 ‘제2차 한-베트남 경제부총리 회의’를 열었다고 기재부가 11일 밝혔다. 한국 정부는 추경호 경제부총리를 수석대표로 해 기재부 과기부 외교부 농식품부 등 주요 부처가 참석했으며, 베트남 정부는 레 밍 카이 부총리를 수석대표로 9개 부처와 관계기관이 참석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개회사에서 한국과 베트남이 지난 30년간 긴밀히 협력해 무역·투자 부문에서 주요 파트너가 됐으며 지금도 다수 한국기업이 베트남에 진출하며 경제성장을 함께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앞으로 양국 간 무역 확장을 위해 정책금융, 세관·통관 시스템 등 무역 인프라를 지원하고 개발금융을 통한 대규모 인프라 사업 발굴, 기업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정부 간 소통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희토류 매장량 세계 2위, 텅스텐 3위에 이르는 베트남 측에 공급망 협력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당부했다. 또 롱탄신공항과 호치민 지하철 2호선 건설사업에 한국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레 밍 카이 베트남 경제부총리는 양국 교역액을 2023년 1,000억 달러, 2030년 1,500억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23일부터 25일 2박3일 일정으로 베트남을 방문하여 세계로 웅비하는 전남 대도약 실현을 위한 글로벌 도정 행보에 나선다. 민선 8기 본격적인 글로벌 도정 행보에 나선 가운데 지난 1월 태국 방문에 이어 올해 두 번째 해외 방문이다. 베트남 방문 기간 농수산물 수출 업무협약, 우호 교류 지역과의 교류 확대, 전남 관광설명회와 관광객 유치 업무협약 등을 한다. 첫날인 23일엔 호치민 라벨라 호텔에서 농수산식품 해외 수출 10억 달러 달성을 위해 현지 대형 한인마켓과 농수산물 수출 업무협약을 한다. 24일에는 빈프억성을 방문한다. 빈프억성은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지방정부 수장이 전남도를 방문해 우호 교류 협약을 한 지역이다. 응웬 만 끄엉 빈프억성 당서기, 쩐 뚜에 히엔 인민 위원장을 만나 실질적 교류 협력·확대 방안을 논의한다. 마지막 날인 25일엔 동양의 나폴리라 불리는 나트랑에서 '2023 전남 방문의 해'를 홍보하는 관광설명회와 업무협약을 진행한다. 호치민 한인회와 간담회도 진행한다. 김 지사는 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된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무역·투자·수출 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대전시의회의 베트남 빈증성 방문단이 지난 15일 빈증성내 동방국제대학교와 베카멕스 본사, 빈증성 행정센터, 빈증성 인민의회 등을 방문해 우호협력을 다졌다. 방문단은 동방국제대학교를 찾아 양 지역의 대학간 교류협력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어 베트남 최대 공기업인 베카멕스 본사를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신도시 프로젝트와 산업단지 조성 현황 등에 대해 환담했다. 베카맥스의 경우 베트남 최고의 산업단지로서 미래산업에 주력하고 있는 만큼 과학도시로 도약 중인 대전시의 기술 등과 연계해 공동 협력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방문단은 베트남 빈증성인민의회와 대전이 추구하는 일류경제 도시와 과학도시로서 관계 유지를 위해 상호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해각서 체결식은 이상래 대전시 의장을 비롯한 대표단, 응웬 쯔엉 넛 푸엉 빈증성인민의회 부의장, 인민의회 의원 등 각 의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양측은 양해각서에서 상호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지방정부·민간분야·시민단체 간 협력관계 구축 노력 △문화·교육·관광 분야 교류 협력 추진 △경제·통상·과학기술 분야 기회 창출 협력 △기관의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용두 기자 | 정부가 7.8 규모 강진이 일어난 튀르키예에 구조인력을 보냈다. 외교부는 “‘튀르키예 지진 피해 대응을 위한 대한민국 긴급구호대’가 7일 밤 우리 군수송기를 타고 튀르키예로 출국했다”고 밝혔다. 우리 긴급구호대는 수색과 구조 전문인력을 포함해 모두 118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현지에서 국제사회가 보낸 인력들과 협력해 구호활동을 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튀르키예에 1차로 500만 달러(약 63억 원)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하기로 했으며 터키와 함께 피해를 본 시리아에 대해서도 지원을 할 예정이다. 지난 6일 튀르키예 남부와 시리아 북부를 강타한 지진과 이어진 여진으로 지금까지 최소 7천800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사망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을 덮친 강추위 등 악조건이 생존자들의 골든타임을 단축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으며, 특히 정부 통제 지역에 비해 접근이 어려운 반군 통제지역은 피해가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이번 지진으로 사망자가 2만 명이 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튀르키예는 앞서 일주일간 애도기간을 선포하고 오는 13일까지 전국에 휴교령을 내렸다. 튀르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박해리 기자 | 튀르키예에서 전날 (6일·현지시간) 규모 7.8 지진이 강타한 지 하루만인 오늘 (7일·현지시간) 오전 6시 13분께 중부에서 규모 5.3의 지진이 또 발생했다고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가 밝혔다. 진앙은 아디야만에서 서쪽으로 43㎞ 지점이다. 진원의 깊이는 10㎞로 추정됐다. 앞서 6일 오전 남부 가지안테프에서 약 33㎞ 떨어진 내륙, 지하 17.9㎞에서 규모 7.8의 지진이 발생했고, 오후 카흐라만마라슈 북동쪽 59㎞ 지점에서 규모 7.5의 지진이 뒤따랐다. 두 차례에 걸친 강진과 80여 차례의 여진으로 튀르키예는 물론 남부 인접국 시리아에서도 막대한 피해가 발행했다. 사망자가 하루만에 4천 명을 넘어섰으며 1만8천 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된다. 사망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터키 정부의 요청을 받고 실종자 수색·구조활동을 지원하는 국제구조대를 현지에 파견한다고 7일 밝혔다. 미국, 유럽연합(EU) 등 세계 각국도 구조팀 등 지원인력 파견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소방청에서 급파하는 국제구조대(61명)는 현지에서 첨단장비를 활용해 실종자 수색·구조 활동을 펼친다. 이날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베트남의 설인 뗏(Tet) 연휴 기간 국내외 관광객 900여만 명이 베트남 주요 관광지를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베트남 관광청(VNAT)에 따르면 올해 뗏 절이었던 지난 20일부터 26일까지 7일간 베트남에서 여행을 즐긴 국내외 관광객은 지난해 뗏 기간 610만여 명보다 47.5%(290여만 명) 늘어난 900여만 명으로 추산됐다. 하지만 이 기간 관광업계의 수입은 17조5,000여억 베트남동(VND)으로, 전년보다 30%가량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방역 정책 완화 등으로 관광객은 늘었지만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 등의 여파로 씀씀이가 줄어든 셈이다. 수도인 하노이에는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 등지에서 온 외국인 관광객 3만2,000명을 포함해 33만2,000명이 방문했다. 지역별로는 남부 경제수도 호찌민에 170여만 명이 다녀간 것을 비롯해 붕따우(Vung Tau) 66만9,000여 명, 칸호아(Khanh Hoa) 43만1,800여 명, 탄호아(Thanh Hoa) 42만8,000여 명, 끼엔장(Kien Giang) 33만9,634여 명 등이다. VNAT는 '지난 8일부터 중국이 코로나19 방역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를 맞은 베트남은 곳곳에 고양이 조형물과 장식품들로 가득해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달리 12간지 동물에 토끼 대신 고양이가 포함된 베트남에서는 '묘(卯)'자가 들어간 해마다 고양이가 상징 동물로 인식돼있다. 베트남은 12간지 중에서 △토끼 대신 고양이 △소 대신 물소를 쓴다. 12간지가 정확히 언제 베트남에 들어왔는지, 토끼 대신 고양이를 쓰는 정확한 이유에 대해선 불분명하다. 대개 기원전 111년 중국 한(漢)나라의 침입으로 북속시대가 시작된 전후 중국의 역법과 12간지가 들어왔을 것으로 본다. 베트남에서는 12간지를 '뚜비'라고 부른다고 하며, 12간지가 만들어진 전승 신화 자체는 중국이나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유사하다. 다만 우리나라나 중국의 전승 신화에서는 고양이가 12간지 경쟁에서 탈락하는데 비해, 베트남의 전승 신화에서는 쥐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4번째 자리를 차지한 것으로 나온다. 베트남만의 독특한 12간지 중 소와 물소의 변화는 지역적 차이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였지만, 토끼가 고양이로 변한 것은 여러 설이 전해지고 있다. 가장 유력한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호치민시가 지난 2년간의 코로나로 인한 취소를 뒤로하고, 3년 만에 뗏(Tet 설) 불꽃놀이를 재개한다. 10일 호치민시 문화체육관광국에 따르면, 계묘년(癸卯年) 뗏 당일인 오는 22일 0시부터 15분간 불꽃놀이를 허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뗏 불꽃놀이 장소는 6곳으로, 빈짠현(Binh Chanh)이 올해 처음 포함됐다. 불꽃놀이가 펼쳐지는 6곳은 투득시(Thu Duc) 사이공강터널, 투득시 벤녹기념유적(Ben Noc), 11군 담센문화공원(Dam Sen), 껀저현(Can Gio) 껀탄티전(Can Thanh thi tran, 읍단위), 꾸찌현(Cu Chi) 벤즈억(Ben Duoc) 순교자기념지구, 빈짠현 1968 마우탄(Mau Than) 순교자기념관이다. 불꽃놀이는 베트남의 대표적인 국경절 행사로 호치민시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새해, 설날, 통일절(4월30일), 독립기념일(9월2일) 등에 열렸지만 지난 2년 동안은 코로나19로 열리지 못했다. 앞서 지난 1일 호치민시는 시내 2곳에서 신년맞이 불꽃놀이 행사를 했으며, 별다른 일이 없으면 앞으로 계속할 예정이다. 시 당국은 그동안 방역 목적으로 불허했었던 시내에서 열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베트남이 사상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으로 부상했다. 연간 기준으로 베트남이 우리의 최대 무역 흑자국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는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 30주년을 맞은 해로, 그간 다양한 분야에 걸쳐 양국의 투자와 협력이 강화되면서 흑자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대(對) 베트남 수출은 609억 8000만 달러, 수입은 267억 2000만 달러로, 무역수지 흑자가 342억 5000만 달러(약 43조 원)로 집계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베트남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에서 글로벌 기업의 생산 기지로 부상하고 있다"라면서 "베트남이 최대 무역 흑자국이 된 것은 우리 기업이 활발히 진출하며 긴밀한 경제 파트너로 자리매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작년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는 베트남에 이어 미국(280억 4000만 달러), 홍콩(257억 9000만 달러), 인도(99억 8000만 달러), 싱가포르(98억 6000만 달러) 등의 순으로 컸다. 대미(對美) 무역수지는 수출액이 전년 대비 14.5% 증가하며 2017년 이후 6년 연속 증가한 영향이 크다
								Globe가 이달 1일에 가상으로 개최된 시상식에서 3개의 상을 휩쓸며 ASEAN Corporate Governance Scorecard(ACGS)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다. Globe는 'Top 3 Philippine Publicly-Listed Companies', 'ASEAN Top 20', 'ASEAN Asset Class'에 선정됐으며, 이를 통해 필리핀이 업계 최고의 거버넌스 표준 및 관행을 보유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Globe는 이전 시상식에서도 동일하게 수상한 바 있다. Globe Group의 사장 겸 CEO Ernest Cu는 "권위 있는 ACGS Awards를 통해 인정을 받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우리는 필리핀이 아세안 지역에서 최고의 기업 지배구조를 가진 국가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 지배구조가 회사의 목적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Globe는 Ethical Boardroom Corporate Governance Awards에서 2년 연속 Telecom-Asia 부문의 Best Corporate Governance Award를 수상하며, 사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형성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삼성전자는 한종희 DX부문장과 노태문 MX사업부장 사장이 서울 롯데호텔에서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을 접견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가 ‘포괄적전략동반자’로 격상된 가운데 한 부회장과 노 사장은 푹 국가주석을 만나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의 경쟁력을 소개하고 유치 협력을 요청했다. 또한 삼성전자의 베트남 사업 주요 현황과 투자 계획도 논의했다. 2008년부터 베트남 투자를 본격화한 삼성전자는 현재 박닌, 타이응웬, 호치민에서 모바일과 가전제품 등을 생산하고 R&D 센터와 판매법인도 운영 중이다. 한편 노태문 사장은 앞서 지난 8월에도 하노이 정부 청사에서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를 만나 사업 주요 현황을 논의하고 부산엑스포 지지를 당부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에 참여해 유치 활동에 힘을 보태고 있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한국승강기안전공단과 베트남승강기협회가 지난 1일 베트남 호치민 사이공전시컨벤션센터에서 승강기 안전 및 산업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에는 공단 이용표 이사장과 베트남승강기협회 응우옌 하이득 회장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공단은 선진화된 한국의 승강기 안전관리제도와 기술, 전문가 양성 교육, 진단‧감리사업 등 노하우를 베트남에 전수한다. 양 기관은 승강기 산업발전을 위한 설치 및 제조현황 등 통계정보를 공유하고 중소기업의 수출기반 마련과 승강기 엑스포 등 주요 행사에 참여 및 협력할 방침이다. 앞서 베트남승강기협회는 지난 10월 한국의 승강기 안전 제도와 시스템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을 방문하고 간담회를 가진 바 있다. 이용표 공단 이사장은 “한국의 우수한 안전 제도와 기술을 전파해 베트남의 승강기 안전 인프라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며, “국내 승강기 중소기업들이 베트남을 교두보로 주변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응우옌 하이득 베트남승강기협회 회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국 간 승강기 산업 관련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초청으로 오는 4~6일 푹 주석이 국빈 방한할 예정"이라며 1일 밝혔다. 올해 한·베트남 수교 30주년을 맞아 방한하는 푹 주석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첫 국빈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10월 베트남을 방문한 박진 외교부 장관을 통해 푹 주석의 방한을 초청하는 친서를 전했다. 윤 대통령과 푹 주석의 회담은 오는 5일 공식 환영식을 시작으로 소인수환담, 정상회담, 국빈만찬 등 일정으로 진행된다. 윤 대통령은 푹 주석과의 회담에서 정치‧안보, 교역‧투자, 금융, 인프라, 공급망 등 양국 간 협력 강화 방안에 관해 협의할 예정이다. 대통령실은 “베트남은 우리의 독자적인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아세안 연대구상’의 핵심 협력국”이라며 “푹 주석의 국빈 방한은 한-베트남 관계를 포괄적이고 전략적인 파트너십으로 발전시키고, 아세안과의 협력도 더욱 강화해 나가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했다. 한편 푹 주석은 오는 6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리는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할 예정이다. 한국과 베트남 기업인 300여 명은 푹 주석의 참석을 계기로 광물 등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은 지난 25일 베트남 호찌민 뉴월드 사이공 호텔에서 '2022 한국-베트남 이커머스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올해 한국과 베트남 수교 30주년을 맞아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양국 중소벤처기업의 이커머스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자 마련됐다. 워크숍에는 중진공 안정곤 글로벌 성장본부장, 주호치민 심재윤 중기영사, 베트남 산업무역부 응웬 티 프엉 짱(Nguyen Thi Phuong Trang) 전자상거래담당국 과장, 베트남 중앙경제관리연구원 응웬 화 끄엉(Nguyen Hoa Cuong) 부원장을 비롯해 이커머스 플랫폼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양국 정부 기관 관계자와 티키(TiKi), 파도(FADO), 우아한형제들 베트남법인 등 민간기업 전문가가 이커머스 시장현황과 관련 정부 정책, 현지 진출 전략을 소개했다. 이어서 이커머스 시장 진출 지원 우수사례를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양국 민관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안정곤 중진공 글로벌 성장본부장은 "지난해 베트남 이커머스 시장 성장률은 필리핀에 이어 동남아시아 국가 중 2위"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