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기자 | 세계 곳곳 마트 진열대에서 손쉽게 만나는 바나나. 하지만 이 노란 과일이 식탁에 오르기까지는 수천 km를 건너는 긴 여정과 치밀한 공정이 숨어 있다. 열대 농장에서 초록빛으로 잘려 나온 바나나는 바다를 건너 한국에 도착한 뒤 ‘후숙센터’에서 익혀진다.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바나나의 노란 미소는 사실 농부의 손길과 유통업계의 기술이 만든 결과물이다. 열대의 땅에서 시작되는 ‘풀 같은 나무’ 세계 최대 수출 과일 중 하나인 바나나는 남미와 아시아 열대 지역에서 재배된다. 흔히 나무라고 부르지만 사실 바나나는 거대한 풀에 가깝다. 목질화되지 않은 줄기가 겹겹이 쌓여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재배지는 주로 에콰도르, 필리핀, 콜롬비아 등지로, 연중 평균 기온 26~30℃의 습윤한 환경에서 자란다. 심은 지 약 9개월이면 바나나 송이가 맺히고, 이때 노동자들이 아직 푸른빛을 띤 채 송이를 잘라낸다. 익지 않은 채 수확되는 이유 바나나는 ‘후숙 과일’이다. 스스로 에틸렌 가스를 내뿜으며 서서히 익어가기 때문에, 농장에서 완전히 익은 상태로 수확하면 장거리 운송 과정에서 금세 썩어버린다. 따라서 수출용 바나나는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김하수 청도군수는 24일 청도군 각북면에 위치한 꿈그린농원을 방문, 청도군 유망 아열대 작물 재배단지의 바나나 첫 수확을 체험·격려했다. 꿈그린농원에서 재배되는 청도 바나나는 천혜의 기후와 건강한 토양 조건을 갖춘 청도에서 재배되어, 기존의 수입 바나나에 버금가는 맛과 영양가로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환영을 받고 있다. 또한, 해당 농원에서는 바나나 수확 체험과 연계하여 만감류, 커피 등 0.2ha 규모의 아열대 작물 전시장을 운영하고 있어 올해는 2만 명 정도가 농장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푸른 대자연을 가진 청도에서 재배되는 바나나는 수입 바나나와 다른 특별한 맛을 느낄 수 있다"라며, "바나나를 포함한 아열대 작물 재배 확대에 더욱 노력하여 아열대 작물을 지역 특산품으로 만들어 경쟁력 확보와 농가소득 증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권오연 기자 | 블로그 육성 공익프로그램 바나나캠프(대표 김경태)는 21일, 1기 참가자 전원이 성공적으로 미션을 마치고 캠프를 졸업하고, 2기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과거 블로그는 일기 혹은 생활을 정리하는 사적 공간이었지만, 최근 블로그 마켓, 광고 적용 등 수익 창출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인식이 변화했다. 이에 따라 블로그 전문 강의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블린이 (블로그+어린이)를 위한 육성 프로그램 ‘바나나캠프’가 블로거들 사이에서 큰 화제다. ‘바나나캠프’는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거나 방문자수가 높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공익 프로그램이다. 일 방문자 500명 이하 블로거들이 빠른 시간에 가시적인 방문자 증가효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프로젝트로, 캠프에서는 1일 1포스팅의 중요성 강조와 함께 각종 질의응답과 시크릿 팁을 제공한다. 캠프 1기는 10월 1일부터 20일간 진행됐으며, 참가자 중 일부는 40명이었던 일방문자가 최대 1,000명까지 증가하는 등 성황리에 종료됐다. 많은 추가 캠프 개설 요청을 받고 있는 네이버 바나나카페에서는 바나나캠프 2기를 희망하는 초보 블로거들을 대상으로 11월 1일부터 시작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