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최민준 기자(영상,기사) | 인천 계양구에 위치한 서송병원이 휠체어 무상 점검 및 수리 서비스를 시작하며, 재활환자들의 이동권 보장에 나섰다. 이 캠페인은 휠체어 고장으로 치료나 외래 진료를 중단해야 했던 환자들에게 치료 접근성을 회복시켜주는 중요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서송병원은 지정된 날짜에 외부 전문업체와 협력하여 휠체어의 브레이크, 바퀴, 프레임 등을 점검하고 수리한다. 이 서비스는 병원 내 비치된 휠체어뿐만 아니라, 환자 개인이 보유한 기기에도 확대 적용된다. “동행의 시작은 이동권에서”서송병원 측은 이번 서비스가 단순한 복지 제공을 넘어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병원 관계자는 "휠체어 하나를 고쳐드렸을 뿐인데 환자분이 다시 외래를 방문하셨습니다. 치료는 병원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병원에 가는 것이 바로 의료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병원 자체 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6명 이상이 휠체어를 주요 이동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절반가량이 고장 상태로 방치된 경험이 있었다. 이동 불편은 결국 진료 중단으로 이어지며, 치료의 연속성을 저해한다. 서비스를 이용한 환
●국민연금 고갈, 청년의 미래는? MZ가 국민연금 폐지를 외치는 이유① : 수익구조의 붕괴 MZ가 국민연금 폐지를 외치는 이유② : 이상뿐인 개혁 MZ가 국민연금 폐지를 외치는 이유③ : 연금 개인화 시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당신의 연금, 안전할까?" 국민연금 고갈론은 무너진 출산률과 초고령화 기조에 이미 기정화된 사실이다. 연금보험료를 납부할 생산가능인구는 계속 줄고 있기 때문이다. 간단하다. 수익의 핵심이 줄어드는데 지출은 늘어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률은 0.72로 또 한 번 역대 최저 기록을 갱신했다. 필사의 고민으로 연금 개혁을 이뤄야 할 정부와 국회는 여전히 계엄 등 혼란한 정치 공방에 정신이 없다. 형식적으로나마 정부와 여야가 합의점을 찾겠다고는 했지만, 진정성 있는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시간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야 할 MZ, 청년세대의 미래는 더욱 가난해지고 있다. 이번에는 ②정부와 국회는 청년의 미래 안전 자산 중 하나인 국민연금의 개혁을 위해 어떤 얘기를 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 정부의 연금개혁안, 핵심은? 정부와 국회가 논의중인 국민연금 개혁의 핵심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