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10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손태승 전 회장의 ‘황제 경영’으로 인해 우리은행 및 계열사 전반의 내부통제가 일부 작동하지 않았다고 인정하면서 우리은행의 내부통제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났다. 10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은행뿐 아니라 우리금융저축은행, 우리금융캐피탈까지 부당대출이 발생한 것은 손태승 전 회장의 '황제 경영'이 만들어낸 결과”라며 임종룡 회장에게 강도 높은 질타를 이어갔다. 이에 임 회장은 “동의하며, 그런 측면이 있다”고 인정했다. 또한, 우리은행의 파벌 문화에 대해서도 “여러 은행이 합해지면서 계파적 문화가 잔존한 것”이라며, 조직 개혁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임 회장은 이번 부당대출 사태가 우리금융의 신뢰를 크게 훼손했음을 강조하며, “제가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임 회장은 조직 개혁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지 못한 채,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위원회 신설 등의 조치에만 머물렀다. 이와 함께 임 회장은 윤리내부통제위원회를 신설하고, 여신심사관리 프로세스를 개선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윤유경(영상뉴스) | 최근 불거진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회장 임종룡) 회장의 부당대출 논란이 계속해서 확산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우리은행(은행장 조병규)을 비롯한 우리금융지주 전체의 지배구조 내부통제가 전혀 작동하고 있지 않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원장 이복현, 이하 금감원)에 따르면, 손 전 회장 관련 부당대출의 규모는 우리은행에서만 350억 원에 달하며, 추가로 계열사인 우리금융저축은행과 우리캐피탈에서도 부당대출 정황이 포착되면서, 총 규모는 367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금감원은 우리금융그룹의 모든 계열사에 대한 철저한 현장검사를 진행 중이며, 특히 경영진의 책임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손태승 전 회장의 친인척 대출 과정에서 서류 진위 확인이 소홀하게 이뤄졌으며, 담보 평가와 대출금 용도 관리에서도 중대한 문제가 발견됐다. 또한, 우리금융 경영진이 문제를 알고도 제때 보고하지 않는 등 관리 부실 문제도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우리금융 전반에 걸쳐 체계적인 내부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며, 금융감독원을 비롯한 금융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