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시청자 주간, KBS국악관현악단 <독도판타지> 온라인 콘서트

오후 5시 30분부터 KBS 유튜브 공식채널, My K 통해 실시간 생중계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한솔 기자 |

KBS는 '수신료의 가치를 시청자와 함께'라는 주제로 시청자 주간 행사를 9월 1일부터 4일까지 개최하기로 밝혔다.  

 

둘째 날인 9월 2일 오후 5시 30분, KBS별관 공개 스튜디오에서 ‘시청자주간 특별기획 콘서트’ <독도판타지>가 개최된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슴 깊은 울림을 주는 이름 ‘독도’. 이러한 주제로 하는 뜻깊은 공연에 함께 해준 소리꾼 남상일 씨는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독도가 갖는 값지고 소중한 의미를 이번 음악회 출연을 계기로 더욱더 가슴 깊이 새기고 대한민국 국민이자 국악인의 한사람으로서 우리 음악을 더욱더 잘 지키고 대중들에게 알리고자 노력하겠습니다.”라는 참여 소감을 밝혔다. 

 

남상일 씨는 작곡가 이준호가 국악관현악으로 새롭게 편곡한 판소리 춘향가 중 이몽룡과 성춘향이 백년가약을 맺고 사랑이 깊어졌을 때 사랑에 겨워 부르는 노래인 ‘사랑가’와 옹골진 창법에 중간에 민요 ‘태평가’를 더해서 대중가요 ‘희망가’에 전통적 색채를 가미한 곡 새로운 ‘희망가’, 그리고 독도 서사시를 소재로 한 곡으로 풍부한 선율을 담은 ‘홀로아리랑’ 등 세 곡을 노래한다. 

 

또한 차세대 소프라노 신델라 씨는 “9월 3일 방송의 날을 하루 앞둔 시청자 주간에 멋진 공연에 초대되어 KBS 국악관현악단과 함께 공연할 수 있음에 대한민국의 국민이자 예술가로서 영광입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또 "요즘 코로나로 많은 국민들이 힘들고 지쳐있으신데 음악으로 위로와 희망을 전하고자 푸스킨의 시를 가사로 쓴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로 먼저 따뜻한 마음을 전하고 이어 우리 가락이 돋보이는 ‘아름다운 나라’와 지난 5월 제가 싱글앨범으로 발매한 ‘우리 민요메들리’를 통해 우리 민족의 흥겨움을 전해드릴 수 있어 너무 기쁩니다.”라고 참가하는 포부를 밝혔다.

 

뿐만 아니라 신세대 성악가로 멋지게 활동하고 있는 ‘델라벨라 싱어즈’가 출연해 독도하면 떠오르는 국민 노래, ‘독도는 우리땅’을 재해석 한 곡인 ‘우리 땅, 독도’를 마지막 곡으로 선보인다.

 

KBS국악관현악단의 오프닝 곡 ‘아리랑 환상곡’에 이어 ‘Fly High’, ‘해피니스’, ‘청청’ 등이 연주되는 이번 <독도판타지> 공연은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에 따라 아쉽지만 무관중으로 진행되며 KBS 공식 유튜브 채널과 myK를 통해 실시간 감상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안성시, '2025 안성 아트굿즈 공모전' 수상자 간담회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안성시는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2025 안성 아트굿즈 공모전’ 수상자 대표 7팀을 초청해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공모전 수상자 중 우수작으로 선정된 팀을 초청해 상장 수여와 함께 신진 공예디자인 창작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향후 지역 창작 생태계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안성 아트굿즈 공모전’은 신진 공예디자인 창작자의 발굴과 지역 공예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한 전국 단위 공예디자인 공모전으로, 올해 전국 12개 시·도에서 총 233점이 접수되어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중 30개 팀이 최종 수상자로 선정됐으며, 프리미엄상 4팀, 디자인상 2팀, 혁신상 1팀 등 총 7팀이 대표로 간담회에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공예상품의 지역 유통 활성화 방안 ▲청년 창작자의 지속적 성장 지원 ▲시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전시·판매 기회 확대 등이 주요 논의 주제로 다뤄졌다. 특히 참여 작가들은 “공모전 이후 실질적인 판로와 홍보 기회가 이어진다면 창작 지속성이 훨씬 높아질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전시·유통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