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7.1℃
  • 맑음강릉 14.8℃
  • 맑음서울 10.3℃
  • 맑음인천 9.9℃
  • 맑음수원 8.6℃
  • 맑음청주 12.6℃
  • 맑음대전 11.0℃
  • 맑음대구 11.3℃
  • 맑음전주 12.0℃
  • 맑음울산 11.5℃
  • 구름많음광주 13.7℃
  • 구름많음부산 14.7℃
  • 구름많음여수 15.1℃
  • 구름많음제주 16.1℃
  • 맑음천안 8.2℃
  • 구름조금경주시 9.7℃
  • 구름많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CKEC in Metaverse 2021, “리그오브레전드(LOL)”대회 Shadow zero 우승

국제e스포츠 전옥이 이사장, 더욱 정진하여 오늘 참가한 선수들이 세계대회에서 좋은 성과 기대
CKEC in Metaverse 2021, Shadow zero(주영민, 이희민, 남현준, 정희현, 김효민 선수)팀, 우승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정길종 기자 | CKEC in Metaverse 2021, “리그오브레전드(LOL) e스포츠를 대중적으로 알리기 위한 대회가 지난 12월 17일(금) 14시에 경기도 성남시 소재 밀레토피아 호텔 1층 더 라이브 센터에서 CKEC 한국법인장·국제e스포츠진흥원 전옥이 이사장의 대회사를 시작으로 최광현 캐스터, 이대형 해설로 진행돼 Shadow zero(주영민, 이희민, 남현준, 정희현, 김효민 선수)팀, 우승으로 성대히 막을 내렸다.

 

▲”CKEC in Metaverse 2021“우승팀 Shadow zero(주영민, 이희민, 남현준, 정희현, 김효민 선수)과 전옥이 이사장

 

이 대회는 e스포츠를 대중적으로 국민스포츠로 알리기 위해 한국과 중국이 함께 CKCE를 만들고 2019년부터 청소년, 청년들을 위한 아마추어 국제경기를 개최해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하고 있다. 

 

4차 산업의 핵심인 e스포츠가 생활 스포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꼭 프로가 아닌 국민들이 편하게 참여할 수 있고, e스포츠뿐만 아니라 메타버스를 알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CKEC 문화축제다.

 

”CKEC 2021“ 대회장인 전옥이 이사장은 대회사에서 우리나라는 세계가 인정하는 'e스포츠 강국'이다. 내년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e스포츠가 정식종목에 '리그 오브 레전드'와 7개의 매달이 걸려 있다고 하며, 지금은 아마추어지만 더욱 정진하여 오늘 참가한 선수들이 세계대회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CKEC in Metaverse 2021“ 행사장, 포토존에서 코스프레 행사를 진행하여 참가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 전옥이 이사장 

 

”CKEC in Metaverse 2021“ 총상금 1000만 원으로 CKEC 주최하고, 국제e스포츠진흥원, (사)한국게임물유통협회, ㈜MOIIN, 이스포츠포롬 주관, 북경화지아대학, 백야망카, 중국인터넷온라인서비스협회, 후원했다. 

 

한편 이날 축사는 영상으로 중국 중세기술유한공사 이개선 동사장, CKEC 중국법인장 소건 동사장, 중국화지아대학 우양일 학과장, ㈜MOIIN 옥재윤 대표와 국회부의장 정진석 국회의원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인사들이 축사를 보내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