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6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4℃
  • 맑음강릉 18.6℃
  • 맑음서울 18.5℃
  • 맑음인천 17.0℃
  • 구름많음수원 18.5℃
  • 맑음청주 19.2℃
  • 맑음대전 19.8℃
  • 맑음대구 20.7℃
  • 구름조금전주 20.2℃
  • 맑음울산 19.0℃
  • 구름조금광주 21.5℃
  • 맑음부산 21.5℃
  • 맑음여수 19.6℃
  • 맑음제주 21.2℃
  • 맑음천안 18.8℃
  • 맑음경주시 20.8℃
  • 구름조금거제 19.0℃
기상청 제공

국제

토끼의 해?...베트남은 '고양이의 해'

십이지(十二支) 중 토끼 없는 베트남
한·중·일은 토끼의 해…베트남은 "고양이의 해"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를 맞은 베트남은 곳곳에 고양이 조형물과 장식품들로 가득해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달리 12간지 동물에 토끼 대신 고양이가 포함된 베트남에서는 '묘(卯)'자가 들어간 해마다 고양이가 상징 동물로 인식돼있다.

 

베트남은 12간지 중에서 △토끼 대신 고양이 △소 대신 물소를 쓴다. 12간지가 정확히 언제 베트남에 들어왔는지, 토끼 대신 고양이를 쓰는 정확한 이유에 대해선 불분명하다. 대개 기원전 111년 중국 한(漢)나라의 침입으로 북속시대가 시작된 전후 중국의 역법과 12간지가 들어왔을 것으로 본다.

 

베트남에서는 12간지를 '뚜비'라고 부른다고 하며, 12간지가 만들어진 전승 신화 자체는 중국이나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유사하다. 다만 우리나라나 중국의 전승 신화에서는 고양이가 12간지 경쟁에서 탈락하는데 비해, 베트남의 전승 신화에서는 쥐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4번째 자리를 차지한 것으로 나온다.

 

베트남만의 독특한 12간지 중 소와 물소의 변화는 지역적 차이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였지만, 토끼가 고양이로 변한 것은 여러 설이 전해지고 있다. 가장 유력한 설은 토끼를 뜻하는 한자인 '묘(卯)'자와 고양이를 뜻하는 '묘(猫)'자의 중국어 발음이 유사해 12간지가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바뀌었을 것이란 설이다.

 

또한 벼농사와 해상교역이 주된 산업이었던 베트남에서 쥐를 잡는 고양이는 매우 유용한 동물이었기 때문에 토끼보다 중시 여겨져 고양이가 12간지에 포함되게 됐다는 설도 있다. 고양이의 해는 특히 베트남에서 행운을 가져오고 배가 순항하는 해라는 의미가 강하며, 지난 2011년에는 이로 인해 신생아가 한꺼번에 탄생하는 베이비붐이 발생하기도 했다.

 

베트남에선 고양이의 해는 행운과 만사형통을 가져온다고 여긴다.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은 신년사에서 "2023년 계묘년은 제13차 전당대회 결의안과 제5차 사회경제발전 계획 실현을 위한 3년 차로 무척 중요한 해"라고 강조했다.

 

한편 베트남은 음력설을 '뗏'이라고 부르며 연중 가장 큰 명절 중 하나로 주말까지 합쳐 보통 일주일 정도 연휴를 갖는다고 한다. 올해도 베트남 정부에서 1월 20일부터 26일까지 7일간을 연휴로 발표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이재영 증평군수, 예결특위 심사 앞두고 정부예산 확보 총력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이재영 충북 증평군수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앞두고 내년도 정부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이 군수는 6일 국회 본관에서 기획재정부 정향우 사회예산심의관을 만나 증평군 주요 현안사업에 대한 정부예산 반영을 요청했다. 사회예산심의관은 고용노동부, 환경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사회 분야 예산을 총괄하는 주요 직위다. 이 군수는 이날 면담에서 △증평 3일반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 설치 사업 △장동리 LID(저영향 개발) 비점오염저감사업 △증평 송수관로 복선화 사업 등 지역 핵심 현안의 국비 반영을 건의했다. 증평 3일반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 설치는 향후 기업 유치 경쟁력 확보와 친환경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사업이다. 군은 연계이송관과 중계펌프장을 설치해 산업단지 입주기업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계획이다. 또 장동리 일대의 LID 기반 비점오염 저감사업도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총 29억 원 규모의 이 사업은 식생체류지, 빗물저류조, 투수블록 포장 등을 통해 강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