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3.11.13 (월)

  • 맑음동두천 -0.4℃
  • 구름많음강릉 4.8℃
  • 맑음서울 1.3℃
  • 맑음인천 1.7℃
  • 맑음수원 1.7℃
  • 맑음청주 2.4℃
  • 맑음대전 0.6℃
  • 맑음대구 3.8℃
  • 구름많음전주 4.1℃
  • 맑음울산 3.4℃
  • 구름조금광주 5.2℃
  • 맑음부산 5.0℃
  • 맑음여수 5.3℃
  • 구름많음제주 9.7℃
  • 맑음천안 -0.8℃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5.9℃
기상청 제공

SNSJTV

[환경캠페인] 지구를 숨 쉬게 하는 자연과의 만남, 명승 제96호 토왕성 폭포, 설악산

국내 최장 선녀가 흰 비단을 바위 위에 널어놓은 듯한 아름다운 비경
환경캠페인 설악산 가볼만한곳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환경캠페인 주기범 기자

 

 

이른 새벽 거친 호흡을 가다듬고 어둠 속을 헤치며 설악산 산행을 해 본다.

도심에서 들을 수 없는 자연의 소리와 계절에 맞게 변화된 아름다운 색감, 그리고 극심한 가뭄에 몸살을 앓고 있을 때에 단비로 인해 너무 기뻐 마음껏 날아서 비행하는 새처럼, 아름다운 우리나라 최장 폭포, 마치 선녀가 흰 비단을 바위에 널어놓은 듯한 아름다운 비경의 토왕성 폭포이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환경캠페인 주기범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가장 많이 본 뉴스


SNS TV

더보기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없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주기범 기자 | 무엇이든 돈을 벌려면 상품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소비자가 상품화되지 않은 것을 선택하거나 선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모르는데 어떻게 구매가 일어나겠는가. 상품의 포장, 홍보, 마케팅은 기업 성공의 본질이다.   작품이든 아티스트든 돈을 벌고자 하면 이 같은 상품화 과정을 거쳐야 소비야 하지만 예술계는 왜곡돤 자존심이란 장벽에 갇혀 있지는 않은지? 극히 일부이기도 한 기금 지원에 기대면서 시장 논리에 순응하는 방법을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 이유는 뭘까?   지금까지의 예술은 학교를 기반으로, 아카데미를 축으로 이뤄지면서 작품은 소비자 보다 실적주의에 봉사하고, 음악가들도 학교와의 연관 때문에 조심스러워 상품화를 등한시하거나 개념 자체가 없었다.   그러나 분명히 이제 학교가 중심축이던 시절은 지났다. 따라서 시장 논리의 흐름을 새롭게 배우고 예술의 선순환 생태계라는 새로운 패러 자임 전환에 순응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   작품은 만들었으나 소비가 되지 않고 악보가 서랍에 갇혀있다면, 생존은 누구의 책임인가? 작가 스스로가 할 수 없다면 위탁하거나,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