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더블엠커뮤니케이션, iF 디자인 어워드 2016 수상 - 더블엠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전문 에이전시 더블엠커뮤니케이션(대표 서승민, 이하 MMC)의 출품작이 세계 3대 디자인 시상 중 하나인 독일의 iF 디자인 어워드 2016에서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7개 분야에 걸쳐 전 세계 53개국에서 총 5,295점의 출품작이 접수된 이번 iF 디자인 어워드 2016 은 그 어느 때보다 수상 경쟁이 치열했다.

MMC가 수상한 분야는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 중 기업 아이덴티티 부문으로 자사의 새로운 CI를 출품작으로 과감하게 선보여 업계의 주목을 모았다. MMC의 CI는 ‘하늘, 땅, 바다’가 서로 조화를 이뤄 세상을 만들어내듯 다양한 사고의 조화를 통해 창의적인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특히 곡선의 미학을 담은 독창적 형상과 레드와 웜그레이 칼라로 표출된 열정적 이미지는 기존 디자인 에이전시의 CI에서는 찾아 볼 수 없던 창의적인 콘셉트라는 평가다. 무엇보다 공공디자인, 건축, 의류, 문구 등 다양한 대상 및 제품과의 디자인 콜라보레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번 CI의 혁신성을 눈여겨볼 만하다.

MMC의 서승민 대표는 “창립한 지 만으로 채 2년이 안 되는 신생 디자인 전문 에이전시인 만큼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지향하는데 주력했다. 시각적 상징에만 머무는 CI를 넘어 하나의 스토리를 내포한 제대로 된 작품을 만들고 싶었던 것”이라며 “이번 수상으로 MMC의 디자인 퀄리티와 제작 시스템의 우수성이 인정받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신생회사임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산업에서 충분히 경쟁력이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한편 디자인 업계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iF 디자인 어워드는 독일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International Forum Design)이 주관하는 국제 디자인 시상식이다. 디자인, 완성도, 혁신성, 브랜드 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상작이 결정되는데,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미국 의 IDEA 디자인 어워드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 시상으로 인정받고 있다.

더블엠커뮤니케이션 소개
더블엠커뮤니케이션은 기업 CI 및 BI, 광고, 포스터, 기업 홍보 브로슈어, 카탈로그, 브랜드 프로모션, 각종 보고서와 패키지 디자인을 비롯해 특별한 맞춤형 선물 제작 등을 전문으로 하는 디자인 회사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한은, 기준금리 동결…물가 안정 우선, 성장 둔화 우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8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결과이나, 최근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안정에 대한 한국은행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핵심 물가의 상승 압력도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흐름과 경제 성장 전망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기업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안정과 경기 성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며, 향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금리 인상 또는 추가적인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