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NH농협(은행장 권준학), 전세자금대출 등 대출금리 인하 검토

농협중앙회 기획조정본부장 출신 권준학 은행장
NH농협, 전세자금대출 우대금리 한도 최고 1.0%에서 1.1%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대희 기자 |  시중 5대 은행들의 연이은 대출금리 인상에 검사 출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권의 이자놀음 행태에  비판과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최근 5년간 최근 5년간 5대 시중은행 중 성범죄·횡령 등 1위를 기록한 NH농협은행(은행장 권준학, NH농협)은 오는 24일부터 전세자금대출의 우대금리를 0.1%포인트 확대한다. NH농협 관계자는 “이외에도 대출금리 인하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지난 20일 간담회에서 “금리 상승기에 은행들의 예대 금리차가 확대하는 경향이 있다”며. “은행들의 지나친 이익 추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은행들은 금리를 보다 합리적이고 투명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산정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예대금리차 관리는)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금감원의 역할과 연결돼 있다”고 강조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 오는 24일부터 전세자금대출 우대금리를 0.1%포인트 늘린다. 이에 따라 농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우대금리 한도는 최고 1.0%에서 1.1%로 올라간다. 우대금리를 올리면 금융소비자들의 대출금리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일각에서는 시중은행들이 예대금리차이익(예금과 대출 금리 차이로 인한 이익)으로 배불린 은행들이 검사출신의 신임 금감원장의 말한마디에 일사불란한 움직임을 보고, 자라보고 놀란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는 말이 나온다. 

 

국제적 ESG 경영움직임 속에 그동안 시중은행들이 자신들의 금융사기 등 사고에 대해 금융소비자들의 보호를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은행이 기업이라지만 물불 안가리고 이익을 금융소비자들에게 떠 넘긴 것은 아닌지 비판했다. 

 

향후 대출금리 인하 분위기가 어디까지 확산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NH농협과 케이뱅크의 금리 인하에 시중은행들도 대출금리 인하에 대해 내부적인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2021년 8월 이후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벌어졌다. 예대금리차는 2021년 3분기에 1.80%, 2022년 1분기에는 1.93%를 기록해 0.13%나 늘어났다. 동일기간 이자이익도 11조 6000억원에서 1조 원이나 즐어난 12조 6000억원을 기록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 심각… 정부 대책 효과 미흡 논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야외 작업장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잇따른 온열 질환 발생과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보고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휴식 시간 확보, 작업 환경 개선 등을 권고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이러한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건설 현장이나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 환경은 열악한 경우가 많아 노동자들의 피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계에서는 정부의 대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하며, 더 강력한 법적 규제와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이유로 인력 감축을 시도하는 사례도 보고되면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으로 인한 노동 환경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노동자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