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한국이 싱-마 고속철 수주전에 가입, 원가가 중일 등 국가의 65%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고속철 합작

한국이 중일 등 국가들이 현재 치열하게 입찰경쟁을 전개하는 싱가포르-말레이시아 고속철에 대해 농후한 흥취를 표시했다.

6월 15일 중신망(中新网) 소식에 따르면 강호인 한국 토지, 인프라건설 및 교통부 장관은 이날 쿠알라룸푸르에서 외계를 향해 한국이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고속철에 참여하려는 강렬한 의향을 표달했다. 이에 따라 마-싱 고속철에는 경쟁자가 하나 더 증가하게 됐다.

강호인은 이날 말레이시아 교통부 리오우 티옹 라이(廖中莱(Liow Tiong Lai) 장관을 방문한 후 리오우 티옹 라이가 한국이 마-싱 고속철에 참여하는데 대해 양호하며 정면적인 반응을 했다고 말했다. 리오우 티옹 라이는 한국이 마-싱 고속철 프로젝트에 참여하는데 대해 환영을 표시했다.

강호인은 이 프로젝트를 제외하고 한국은 말레이시아와 교통 영역, 해역 안전과 항공영역에서도 합작을 하려하며 이는 양국에 혜택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말레이시아 정부와 그들이 철도 건설 차원 합작을 통해 이 차원의 한국의 장점을 공유할 의향이 있다고 표시했다.

한국의 고속철 열차는 11년 전부터 운영을 진행해 철도 건설차원에 매우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는 한국이 자체적으로 한국 고속열차(KTX)의 기술을 연구 개발했으며 운영 원가와 시간 감소를 협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승객들은 심지어 스마트폰으로 승차권 구입과 검표를 완성할 수 있어 검표원, 매표원 등 운영 비용을 감소할 수 있고 시간도 덜 수 있다.

강호인은 일전 한국이 제출한 마-싱 고속철 계획 운영원가는 기타 국가 원가의 65%에 달한다고 표시했다.

계획 중의 싱-마 고속철 전체 길이는 350km이며 설계 시속은 300km이다.

운영에 투입한후 이 고속철은 쿠알라룸푸르와 싱가포르 간 통근 시간을 대폭 덜수 있다.

나지브(Dato' Sri Mohd Najib bin Tun Haji Abdul Razak) 말레이시아 총리는 이에 앞서 마-싱 양국은 올해 안으로 관련 양해 비망록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중,일,독, 불 등 여러 국가들도 싱-마 고속철 건설에 참여할 의향을 표시했다.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균형발전은 국가 생존전략…지방에 더 많이 지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장우혁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균형 발전은 국가의 생존을 위한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자치와 분권은 대한민국의 중요한 국정과제"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그동안 불균형 성장을 국가의 성장전략으로 채택해온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다 보니 모든 자원이 특정 지역과 특정 영역에 집중됐고, 그 부작용으로 수도권 일극 체제가 생겨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때는 이 방식이 매우 효율적인 발전 전략이었지만 지금은 성장과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됐다"며 "이제 균형발전은 지역이나 지방에 대한 배려나 시혜가 아닌 국가의 생존을 위한 전략이라고 새 정부는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번 소비쿠폰 지급에서도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인센티브를 지급했다"며 "똑같이가 아니라 더 많은 지원을 해야 비로소 균형을 조금이라도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을 이번 정책으로 나름 시현해 봤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국가 정책 결정이나 예산 재정 배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