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7.9℃
  • 맑음강릉 12.7℃
  • 맑음서울 9.4℃
  • 맑음인천 9.7℃
  • 맑음수원 7.6℃
  • 구름많음청주 10.0℃
  • 구름조금대전 8.1℃
  • 흐림대구 13.1℃
  • 구름많음전주 8.6℃
  • 흐림울산 14.1℃
  • 구름많음광주 9.8℃
  • 흐림부산 15.4℃
  • 흐림여수 12.7℃
  • 흐림제주 13.3℃
  • 구름많음천안 6.5℃
  • 흐림경주시 13.8℃
  • 흐림거제 14.8℃
기상청 제공
배너

국제

환경부, 포장재 상위 19곳 생산자와 4월 27일 자발적 협약 체결

(사진제공 (사)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 협약 생산자 2019년까지 페트병 생산 시 무색만 사용
◇ 각종 포장재 생산단계부터 재활용이 쉽게 제조되도록 개선

안병옥 환경부차관, (사)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김진석 이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27일 오전 10시, 여의도 글래드호텔 프로젝트A룸에서 열린 EPR(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포장재 사용 생산업체 19곳과 재활용이 쉬운  포장재 사용을 위한 자발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자발적 협약에 참여하는 생산업체 19곳은 재활용 의무 생산자에 속한 기업이며 2016년 기준 페트병 출고량 26만 톤 중에서 55%를 생산하고 있다.

협약에는 광동제약, 남양유업, 농심, 대상, 동아제약,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매일유업, 빙그레, 서울우유, 아모레퍼시픽, 애경산업, 오비맥주,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코카콜라음료, 하이트진로, 해태에이치티비, CJ제일제당, LG생활건강 등 재활용 의무생산자 19개 생산업체들은 자율적으로 2019년까지  생수, 음료 등의 페트병을 무색만 사용하도록  품목별  포장재의  재질․구조 등을 개선키로 하였다.
 〈주요 협약 내용〉
① 맥주와 같이 제품의 품질 보장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갈색, 녹색을 사용
② 음료와 생수병의 무색 페트병 사용 비율은 2016년 63.5%에서 2019년에는 85.1%까지 기대
③색상 이외에도 페트병 생산 시 재활용 비용을 증가시키는 종이라벨 사용, 몸체에 직접 인쇄
 제한
④2020년까지 재활용이 어려운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등의 재질을 재활용이
 쉬운 페트(PET) 등의 재질로 대체
⑤페트병 이외의 요구르트병, 샴푸 등의 용기류, 생산 시 알루미늄 재질의 뚜껑과
 같이 몸체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이 동일한 재질로 변경
화려한 색상 금속 마개
   

무색용기와 혼합 시 재생원료 품질저하 재활용시설(분쇄시설) 마모 및 비중 분리가 곤란하여 자력선별시설 추가 설치


협약 참여 업체 19곳은 이외에도 품목별 제품 특성을 고려하여 재활용이 쉬운 재질·구조 개선 사항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번 협약 참여 업체의 개선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협약사항의 이행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이에 참여 업체들은 올해 6월부터 목표이행이 완료될 때까지 매년 세부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환경부와 협의하여 협약의 실질적 이행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했다.

환경부는 이번 자발적 협약이 생산단계에서부터 재활용이 쉽도록 제품이 설계되어 재활용 산업이 활성화되고 자원순환 사회로의 이행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환경부는 포장재 재질·구조 기준 개선 등 관련 업계 및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제도개선으로 생산자의 재활용 책임을 강화하고 재활용의 효율성을 개선하여 재활용을 확대할 예정이다.


/정길종 기자 gjchung11119@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