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중국 집적회로 인재 32만 부족, 고급 설계인재 더욱 결핍

 중국 쟝수 쟝인 창덴 과기공사(江苏江阴长电科技)

포장 작업장 종업원이 검사후 칩 전시 

중국 전자신식 산업 발전 연구원(中国电子信息产业发展研究院)과 공신부 소프트웨어와 집적회로 추진 센터(工信部软件与集成电路促进中心)가 근일 연합으로 발포한 백서에 따르면 2020년까지 중국 집적회로 산업 인재 수요 규모가 약 72만 명에 달하지만 2017년말 이 산업 인재 기존량은 약 40만으로 부족인수가 32만명에 달한다.

8월 18일 영국 로이터사(Reuters) 보도에 따르면 18일 중국 신화사는 그들이 발포한 ‘중국 집적회로 산업 인재 백서(2017~2018)’ 분석을 인용하면서 중국 집적회로 산업 연 평균 인재 수요인수가 10만 명 좌우에 달한다. 그런데 중국의 대학교 이 분야에서 매년 3만 명도 안되는 졸업생들이 본 산업에 취업한다. 현재 단순하게 대학교에 의존하는 방법으로는 산업 발전의 전업인재 공급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백서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8년 상반기 중국에서 이 산업 설계 인재 수요 인수 성장폭이 안정세에 처하지만 고급 설계 인재 결핍 상황이 개선을 얻지 못하고 있다. 제조업이 생산능력 확장 영향을 받아 인재 수요가 고속도 성장을 유지하고 국내 제조업 기업 인재 악성 경쟁 현상이 비교적 보편화되고 있어 고도로 되는 중시를 일으켜야 할 실정이다.


英媒称,中国电子信息产业发展研究院和工信部软件与集成电路促进中心近日联合发布白皮书称,到2020年前后,中国集成电路产业人才需求规模约为72万人,但2017年底该产业人才存量约为40万人,缺口达32万人。

据路透社8月18日报道,新华社18日援引其发布的《中国集成电路产业人才白皮书(2017~2018)》的分析称,中国集成电路产业年均人才需求为10万人左右,而中国每年高校该领域毕业生中仅有不足3万人进入本行业就业。目前,单纯依托高校并不能满足产业发展对专业人才的供给需求。

白皮书显示,2017年到2018年上半年,中国该产业设计人才需求数量增幅趋于稳定,但高端设计人才紧缺的状况并未得到改善。制造业受产能扩张影响,人才需求保持高速增长,国内制造业企业的人才恶意竞争现象较普遍,应引起高度重视。

 江苏江阴长电科技封装车间外检作业员在展示检查后的芯片。

/人民网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한은, 기준금리 동결…물가 안정 우선, 성장 둔화 우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8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결과이나, 최근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안정에 대한 한국은행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핵심 물가의 상승 압력도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흐름과 경제 성장 전망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기업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안정과 경기 성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며, 향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금리 인상 또는 추가적인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