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생애 첫 일자리 친구 찾아가는 청년 맞춤 채용박람회


서울 및 수도권소재 우수·강소기업 72개사, 875명 채용 예정

성남고용노동지청은 경기 동남부권 7대학및 중부권 4개 대학 관내 특성화고 및 일반고 전문계과 청년구직자를 대상으로 2018년 찾아가는 청년 맞춤 채용박람회를 ’여주대학교 용마체육관(여주시 교동 소재)에서 오는 9월12일 (13:00시~17:00시).가천대학교 프리덤광장 (성남시 수정구)에서 오는 9월13일 (13:00시~17:00시)각각 개최한다.
 동남부권대학은 여주대, 청강문화산업대, 한국관광대, 동아방송예술대, 동원대, 두원공과대, 용인송담대 등
 중부권대학은 가천대, 동서울대, 신구대, 한국폴리텍대학 성남캠퍼스 등
 이번 행사에는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우수·강소 기업, 우수 청년 친화 강소기업 등 72개사(1일 각 40개사)가 참여하여 875명의 청년 인재를 채용할 예정이다.
행사장에는 우수·강소 기업, 우수 청년 친화 강소기업에 대한 기업정보 및 채용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업홍보관을 설치하여 청년구직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수 있도록 했다.
또한 참여기업 채용정보는 2018 찾아가는 청년 맞춤 채용박람회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확인할수 있으며청년구직자의 취업을 돕기 위해 취업컨설팅존, 청년고용정책존, 미래직업존, 이벤트존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준비되어 있다.
특히 청년고용정책존」에서는 청년내일채움공제 및 고용지원금, 청년구직촉진 수당, 청년취업성공패키지 등 청년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상담이 가능하며 면접 이미지 메이킹, 직업심리검사, 캘리그라피, 취업타로 등 다채로운 취업 관련 체험도 할수 있다.
행사 참가를 희망하는 청년 구직자는 채용박람회 홈페이지(http://www.gg2030jobfair.or.kr)를 통해 사전면접 신청이 가능하며, 사전면접 신청 구직자에 한해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제공한다.
또 사전 면접신청이 어려운 구직자는 채용박람회 당일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등을 지참, 행사장으로 오면 현장 면접이 가능하다.
김태현 성남고용노동지청장은 “이번 행사는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우수·강소기업과 청년 구직자와의 만남의 장이 될 것이며, 구인기업의 인력부족 문제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건주 기자 chonchu@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한은, 기준금리 동결…물가 안정 우선, 성장 둔화 우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8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결과이나, 최근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안정에 대한 한국은행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핵심 물가의 상승 압력도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흐름과 경제 성장 전망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기업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안정과 경기 성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며, 향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금리 인상 또는 추가적인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