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보이그룹 플래티넘(P.L.T) 정규1집 ‘MAD CITY’ 혜성처럼 등장

 
올 새롭게 등장한 대형 글로벌 아티스트 보이그룹 플래티넘(P.L.T)이 해외는 물론 국내 주요 방송가와 음악 관계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플래티넘(P.L.T)가 유독 화제가 되고 있는 이유는 지난 3년간 혹독한 연습을 통해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신인그룹으로서는 드물게 정규앨범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앨범의 프로듀서를 맡은 천세민 씨는 슈퍼주니어, 싸이, 이효리, 젝스키스, 롯데걸스 등의 앨범제작에 참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Bull$Eye(불스아이), CuzD, BC3000, Cat ChoP, Real Fantasy, Lamar 등 힙합계의 유수 작곡자들이 관여해 힙합, 팝댄스, 발라드, 일렉트로닉 팝 등 다양한 장르 음악들로 구성됐다. 


타이틀곡 ‘MAD CITY’는 강력한 힙합 사운드에 다이내믹하고 유려한 멜로디, 강렬한 랩 전개가 특징이다. 가사 중에는 북극곰을 이미지화 해 현시대 문제점을 해석한 사회적 메시지가 담겨있다. 특히 방탄소년단 안무를 맡았던 안무가 류재준 씨의 폭발적인 퍼포먼스가 곡의 완성도를 높였다.

앨범 첫 곡인 ‘INTRO’는 플래티넘(P.L.T) 첫 정규앨범 시작을 알리는 트랩곡으로 멤버들이 연습과정에서 직접 겪은 이야기를 가사로 썼다. 노래로 세계를 정복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담았다는 것이 인미디어 설명이다.

인미디어 김시현 해외사업단장은 “데뷔앨범에 수록된 10곡은 최고의 퀄리티로 무장하고 각 곡들마다 특색있는 퍼포먼스가 결합돼 있다”며 “멤버 전원이 뛰어난 라이브실력을 갖추고 있어 플래티넘 단독 콘서트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수 록 곡 list
1. Intro - Lyrics by 차빈, 라엘 / Composed by CATCHOP
2. Mad City - Lyrics by 코끼리열차(천세민,CuzD), 차빈 / Composed by코끼리열차(천세민,CuzD)
3. 참 슬픈 일이야 - Lyrics by 슈퍼루키, 이창현 / Composed by 슈퍼루키, 이창현
4. On your way - Lyrics by코끼리열차(천세민,BC3000), 차빈 / Composed by코끼리열차
5. 박자 무시하고 질러- Lyrics by Bull$Eye,Real Fantasy / Composed by Bull$Eye, Real Fantasy
6. 안아줄래- Lyrics by Bull$Eye / Composed by Bull$Eye
7. Chemistory - Lyrics by 송유진김수빈, 윤태경 / Composed by 송유진, 수빈, 윤태경, Lamar
8. 들이대 - Lyrics by Bull$Eye / Composed by Bull$Eye
9. Break - Lyrics by슈퍼루키 / Composed by Bull$Eye
10맘맘 - Lyrics by Bull$Eye, ILLA / Composed by Bull$Eye, 이재민

정길종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가 인간 창작물보다 AI 콘텐츠 선호…알고리즘 편향 논란 확산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 기자 | 최근 발표된 한 국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시스템이 인간이 만든 콘텐츠보다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AI가 점차 자기 강화(self-reinforcement) 구조 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창의성과 고용시장 전반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언어 모델과 생성형 AI 시스템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인간이 작성한 글보다 AI가 만든 텍스트를 ‘더 정확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판단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러한 경향이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 AI 자체 산출물이 계속 축적되면서 편향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AI가 AI를 선호하는 구조가 고착화되면, 인간의 독창적인 사고와 창작물이 주변화될 수 있다”며 “이는 예술·저널리즘·교육 등 인간의 고유한 창의성이 핵심인 영역에서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기업이 AI에 의존해 콘텐츠를 대량 생산하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노동시장에도 불안 요소가 커지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