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우울증 부르는 ‘나쁜 습관’

     

우울증은‘마음의 감기'로도 불리운다. ​우울증이 생길만한‘큰 일'을 겪지 않더라도 누구든지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생각지도 못한 습관이 우울증을 유발한다. 원인 역시 다양하다. 유전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 모두 우울증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 우울증을 유발하는 습관과 관리법을 알아본다.

◇ 실내에만 있는 습관이 우울증 유발

해볕을 충분히 쬐지 못하면 멜라토닌(褪黑素)과 세로토닌(血清素)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긴다. 세로토닌은 즐거운 감정을 만드는 엔도르핀(内啡肽)을 만드는 호르몬이다. 해볕은 세로토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실내에만 있으면 해볕을 쬐지 못해 세로토닌 분비량이 줄어들어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 분비량은 늘어 몸의 상태가 다운되고 우울증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비가 오는 날 우울감이 심해지는 것도 일조량이 줄어든 탓이다. 때문에 짧은 시간이라도 밖으로 나가 해볕을 쬐여야 한다.

◇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하면 우울감 증가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면 우울감을 많이 느낄 수 있다. 미국 쌘프란씨스코 주립대 연구에 의하면 스마트폰 사용이 많을수록 우울감을 느낄 확률이 높다. 연구팀이 대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설문과 면담을 진행한 결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상위 30% 학생이 하위 30% 학생보다 우울감, 외로움, 분노조절 장애 등을 50% 이상 더 느꼈다. 스마트폰을 통한 의사소통은 일방적이고 직설적이기 때문에 우울감과 외로움을 증폭시킨다. 또한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 학생일수록 스마트폰과 여러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몸은 계속 활성 상태를 띠고 쉬거나 재정비할 시간이 없어 우울감이나 불안감이 커진다.

◇​ 식물성 단백질 섭취+규칙적 운동이 도움

우울감은 세로토닌 농도가 올라가면 개선되는데 단백질은 세로토닌 농도를 높여주는 트립토판(色氨酸)이라는 물질을 만든다. 또 단백질은 몸속 효소를 구성하기 때문에 단백질이 부족하면 체내 대사기능이 떨어져 더 우울해질 수 있다.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은 어류와 대두, 두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골고루 섭취하면 좋다. 비타민이나 무기질도 세로토닌을 만드는 중간 역할을 하므로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하는 것도 좋다. 실제로 영국에서 가벼운 우울증을 앓는 성인 94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주 3회 60분간 유산소운동을 한 그룹의 우울증 척도가 낮아진 정도는 약물 및 상담치료를 진행한 그룹과 비슷했다.

/본지종합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퀀텀마인드, 차세대 멀티모달 AI '뉴럴링크 5' 공개...인간 수준 추론 능력 '주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AI 선도 기업 퀀텀마인드가 오늘(11월 1일) 오전, 차세대 멀티모달 AI 모델 '뉴럴링크 5'를 공식 발표하며 전 세계 기술 커뮤니티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뉴럴링크 5는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뛰어넘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인간 수준에 근접한 복합적인 추론 능력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뉴럴링크 5는 특히 단순한 데이터 결합을 넘어, 서로 다른 모달리티 간의 미묘한 관계와 맥락을 파악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퀀텀마인드 측은 데모를 통해 복잡한 시각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세한 상황 설명을 생성하고, 음성 명령만으로 복합적인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며, 심지어 특정 상황에 대한 감정적 뉘앙스까지 이해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이는 산업 자동화, 의료 진단, 교육 콘텐츠 개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을 시사한다. 뉴럴링크 5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사회 전반에 걸친 생산성 향상과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