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외국인 배우자, 국내에 15만7천명…중국·베트남이 3분의 2

결혼이주여성 친정부모 초청행사,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이 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결혼이주여성 친정부모 초청행사'에 참석해 행사의 사회를 맡은 다문화가정 출신 모델 한현민 씨, 다문화 가족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8.11.26 [여성가족부 제공] photo@yna.co.kr

외국인 배우자, 국내에 15만7천명…중국·베트남이 3분의 2

여성 배우자, 남성 배우자보다 다섯 배가량 많아

한국 국민과 결혼한 외국인 배우자가 15만7천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명 중 두 명은 중국 동포를 포함한 중국인과 베트남인이었고, 여성 배우자가 남성보다 다섯 배가량 많았다.

3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 한국 국민의 외국인 배우자는 모두 15만7천418명으로 집계됐다.

국적별로는 중국 동포를 포함한 중국인이 5만8천513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인이 4만1천688명으로 두 번째였다. 중국과 베트남 출신 외국인 배우자를 합치면 전체의 65.2%를 차지했다.

일본(1만3천713명)과 필리핀(1만1천447명) 출신 배우자도 1만명을 넘었다. 캄보디아(4천417명), 태국(4천372명), 미국(3천6647명), 몽골(2천384명), 우즈베키스탄(2천377명)이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13만742명, 남성이 2만6천676명이었다.

전체 외국인 배우자는 2017년 15만3천648명에서 소폭 늘었다.


[표] 국적별 외국인 배우자 현황

(단위 : 명)


 국적                 남        여       소계


베트남                  2,171      39,517     41,688
중국                     5,162      31,482     36,644
한국계 중국인        7,522      14,347     21,869
일본                     1,228      12,485     13,713
필리핀                  410         11,037     11,447
캄보디아               216         4,201       4,417
태국                     96           4,276      4,372
미국                     971         2,676      3,647
몽골                     145         2,239      2,384
우즈베키스탄         110         2,267       2,377
외국인 배우자 총계 26,676     130,742   157,418


※자료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한은, 기준금리 동결…물가 안정 우선, 성장 둔화 우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8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결과이나, 최근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안정에 대한 한국은행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핵심 물가의 상승 압력도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흐름과 경제 성장 전망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기업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안정과 경기 성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며, 향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금리 인상 또는 추가적인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