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4.4℃
  • 맑음강릉 20.2℃
  • 맑음서울 15.3℃
  • 맑음인천 13.7℃
  • 맑음수원 12.3℃
  • 구름많음청주 17.8℃
  • 구름많음대전 15.9℃
  • 구름많음대구 22.6℃
  • 구름많음전주 14.0℃
  • 구름많음울산 20.3℃
  • 흐림광주 16.4℃
  • 흐림부산 16.1℃
  • 흐림여수 19.6℃
  • 흐림제주 17.0℃
  • 구름많음천안 15.3℃
  • 구름많음경주시 24.1℃
  • 흐림거제 18.2℃
기상청 제공
배너

국제

김기윤변호사의 법률상담 Q&A


사업을 위해 미국과 한국을 왕래하던 A씨는 국내에서 결혼한 베트남 국적 아내 B씨 몰래 미국에서 다른 여성과 만나게 되었습니다. 결국 A씨는 B씨가 영어를 아예 하지 못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미국법원에 B씨를 상대로 이혼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B씨는 소장을 받고서도 해석을 할 수 없어 답변서도 제출하지 못하였는데, 결국 미국에서는 A씨의 무변론승소 이혼판결이 내려졌습니다. 그제야 B씨는 위 이혼판결이 무효라는 소송을 한국에 제기하였는데, 이 경우 미국에서 받은 이혼판결이 국내에서도 효력이 있을까요?

 

우리 민사소송법 제217조는 외국재판의 승인 요건에 관하여 그 외국법원에 국제재판관할권이 인정될 것과, 패소한 피고가 소장 및 준비서면과 기일통지서 등을 적법한 방식에 따라 방어에 필요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송달받거나 송달받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소송에 응하여야 할 것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확정된 재판의 내용과 이를 승인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미풍양속에 반하지 않아야 하고, 상호보증이 있거나 대한민국과 해당 국가의 확정재판 승인요건이 상호적으로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법원은 외국재판이 이와 같은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직권조사 하여야 하고, 이에 반하는 외국의 재판은 국내에서 효력이 없습니다.

 

질문의 사안을 살펴보면, 미국에서의 이혼재판이 국내에서 효력을 가지려면 우선 미국에 국제재판관할권이 인정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소송상 1차적 관할법원은 피고의 주소지가 되므로, 한국에 주소지가 있는 B씨를 상대로 한 이혼소송은 원칙적으로 한국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대법원 역시 이혼판결을 한 외국법원에 재판관할권이 있다고 볼 요건으로 그 이혼청구의 상대방이 행방불명 기타 이에 준하는 사정이 있거나 상대방이 적극적으로 응소하여 그 이익이 부당하게 침해될 우려가 없다고 보여지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대방의 주소가 그 나라에 있을 것을 요건으로 한다고 하는 이른바, 피고 주소주의에 따름이 상당하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피고가 적극적으로 응소하면 변론관할이라는 것이 인정되어 원래의 관할법원이 아닌 곳에서도 재판을 받을 수 있는데, 질문의 경우 B씨는 소장을 받고도 아무런 응소행위를 하지 못하여 A씨가 무변론 승소를 하게 되었으므로 변론관할도 성립하지 않게 됩니다.

 

그렇다면 질문과 같이 A씨가 재판관할권이 없는 미국에서 이혼소송을 제기하여 B씨를 상대로 무변론승소 이혼판결을 받은 경우, 그 이혼판결은 국내에서 효력이 인정되기 어렵다 할 것입니다. 결국 법원은 미국에서 이루어진 이혼재판이 국내에서 효력이 없다고 보았고, B씨의 이혼무효 주장을 받아들였습니다.

 

김기윤변호사

02-522-2218

www.lawnkim.co.kr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