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생활포커스] 풋귤 꽃이 핀 뒤 120일 후 9월 초 수확하면 해거리 없이 수량 최대로!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생활포커스]         
 농촌진흥청은 각종 효능이 입증돼 인기를 얻고 있는 풋귤(청과)은 꽃이 핀 뒤 120일 후인 9월 초 수확하면 해거리 피해 없이 수량을 최대로 늘릴 수 있다고 밝혔다.

  풋귤은 다 익지 않은 귤을 뜻하며, 항염‧항산화 등 기능성 이 밝혀지면서 소비도 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지난해보다 많은 약 1,500톤을 생산할 계획이다.

  그러나 감귤은 수확 시기별 수량 차이도 크고 이듬해 꽃이 피지 않는 해거리가 나타나기도 해 풋귤 생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해거리 없이 풋귤 수량을 늘리기 위해 노지, 온주(중국 윈저우에서 유래)밀감의 꽃 피는 시기에 맞는 수확 시기를 연구했다. 그 결과, 풋귤 수확에 가장 알맞은 시기는 꽃이 70∼80% 핀 만개 기준, 120일로 나타났다. 즉, 5월 5일∼10일경 꽃이 핀 나무는 120일이 되는 9월 5일∼10일경이 수확에 알맞다.

  이때 수확하면 만개 후 40일~100일경 수확한 것보다 수량이 많았다. 해거리 없이 다음 해 꽃과 잎의 비율(화엽비= 화엽비는 1.0이면 꽃 하나당 잎이 하나라는 것을 의미함. 보통 0.8 이하부터는 꽃이 적다고 보고 0.05~0.09면 꽃이 거의 없는 해거리가 매우 심한 것을 의미함)이 정상 수준인 1.0∼1.2로 나타나 해거리가 발생한 대조구의 화엽비(0.05∼0.09)보다 눈에 띄게 많았다.

  연구진이 2년에 걸쳐 생산 적기에 맞춰 풋귤을 수확한 결과, 나무 1그루당 수확량은 47.0∼63.1kg이었고 이듬해 꽃과 잎의 비율은 1.0∼1.6까지 높아졌다. 

  반면, 해거리가 발생한 대조구의 수확량은 7.3∼119kg으로 수량 변동 폭이 매우 컸고 이듬해 꽃과 잎의 비율도 0.1∼1.2까지 큰 차이를 보였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장은 “감귤 산업에서 풋귤은 새로운 소득 창출원이 되고 있다. 앞으로 풋귤의 장기 저장 방법과 기능성 효능 연구를 추진해 감귤산업에 보탬이 되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안동-진주-통영, '문화도시 공동발전' 업무협약 체결

데일리연합 (SNSJTV) 김재욱 기자 | 안동시는 10월 13일 진주시 진주성 내 중영에서 '경상권 대한민국 문화도시 공동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이번 협약은 경상권 대표 문화도시인 안동, 진주, 통영이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간 문화도시 비전 공유 및 정책 협력을 통해 문화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협약 내용은 ▲지역 간 문화도시 비전 공유 및 정책 협력 ▲공통 문화자원을 활용한 인적 교류 ▲지역 간 문화기업 및 스타트업 네트워크 교류 ▲기타 상호 발전과 교류 증진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된다. 안동시는 '놀이로 즐거운 전통문화도시'를 비전으로 전통놀이문화를 재해석한 독창적 문화콘텐츠를 확산하고, 통영은 '예술의 가치를 더하는 창의문화도시'를 지향하며 음악과 공예 중심의 창작 활동과 예술가 지원을 강화한다. 진주는 '문화와 산업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로서 세 도시 간 협력을 통해 경상권 문화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갈 계획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세 도시가 각자의 문화적 강점을 살려 상호 협력한다면, 경상권은 대한민국 문화정책의 중심축이자 지역 문화 균형발전의 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