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4.9℃
  • 구름많음강릉 9.6℃
  • 박무서울 6.3℃
  • 박무인천 5.7℃
  • 구름많음수원 6.2℃
  • 흐림청주 7.2℃
  • 대전 7.2℃
  • 구름많음대구 8.0℃
  • 흐림전주 7.6℃
  • 연무울산 7.9℃
  • 구름조금광주 8.0℃
  • 맑음부산 9.9℃
  • 구름조금여수 8.6℃
  • 흐림제주 11.3℃
  • 흐림천안 6.8℃
  • 흐림경주시 7.3℃
  • 구름조금거제 9.8℃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 여의도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 행사 성황리에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조성윤 기자 | 2024년 10월 1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에서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가 주최한  대규모 세계한인상공인 지도자대회 행사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2002년 설립한 재단법인 평화와 번영을 위한 세계한민족공동체재단(이사장 김덕룡,회장 한창우)이  21세기 위대한  한민족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해외에서 활약하고 있는 세계한인상공인지도자들을 모국으로 초청, 직접 모국을 체험하며 한민족정체성 확립, 역사의식 및 자긍심 고취, 리더쉽을 함양하는 사업이다.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에서 활동 중인 한인 상공인 약 300명이 참석하여 글로벌 경제 동향을 공유하고 

비즈니스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되었다.

 

주요 참석인사는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 이사장 김덕룡,회장 한창우,사무국장 김금희,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대표 양창영,대한고려인협회 이사 안안나,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독일지회장 하영순,삼정회계법인 상무 황태영,지구촌평화통일한류연맹 '지평한' 한계은 총재등 그 외 20여개국ㆍ한상 다수가  참석했다.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는 매년 다양한 업계의 한인 상공인들을 한자리에 모아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도 IT, 금융, 제조, 무역 등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상공인들이 참여했다. 

 

오전 세션에서는 글로벌 경제 환경과 한인 상공인의 역할에 대한 심도 있는 강연이 진행되었으며, 

주 강연자인 김민수 회장은 "한인 상공인들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네트워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후 세션에서는 참석자들이 소규모 그룹으로 나뉘어 산업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이 진행되었다. 

 

이 자리에서는 각국의 경제 전문가와 한인 기업인들이 해외 진출 전략과 현지에서의 비즈니스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많은 관심을 끌었다.

 

세계 한인 상공인 총연합회는 앞으로도 이러한 네트워킹 행사를 통해 한인 상공인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상호 협력을 강화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는 상공인들 간의 네트워크 확장뿐만 아니라, 한인 상공인들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도전과 기회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마포구 책방여행 첫날, 박강수 마포구청장과 함께한 책 이야기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마포순환열차버스 책방여행’ 첫날인 11월 25일,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오후 2시 상수동 ‘오케이어 맨션’을 찾아 지역 서점 대표·출판 관계자·창작자 등 30여 명과 함께 ‘구청장과 함께하는 책 이야기’ 행사를 진행했다. ‘책방여행’의 시작을 알리는 자리에서 박 구청장은 마포의 책 문화 비전과 지역 서점·출판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구의 정책 방향을 공유하며 참석자들과 따뜻한 대화를 나눴다. 행사는 아나운서 김병찬의 진행으로 책을 출간한 계기, 동네서점의 매력, 출판업계가 겪는 현실, 마포가 가진 책 생태계 등 폭넓은 주제를 중심으로 깊이 있는 대화가 이어졌다. 장치혁 출판인(인생책방 대표), 홍경화 작가(테일브릿지 대표), 임영주 서점 시즌스 대표 등 마포에서 활동 중인 출판·서점 관계자들도 함께 참여해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와 바람을 전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이 자리에서 책에 대한 개인적 애정과 마포 책 문화 정책의 배경을 솔직하게 공유했다. “취임 초 도서관 운영시간이 끝난 뒤, 아이들이 공부할 수 있는 야간 학습공간으로 일부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