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CJ대한통운, CL부문 신규 수주 7300억 돌파…“3PL 혁신 가속화로 물류 강자 입지 굳힌다”

TES 기반 물류 컨설팅으로 효율 혁신과 수주 확대
삼다수 물류계약, ESG·비용 절감으로 성공 사례 입증
3PL 리더십 강화, 스마트 물류 솔루션으로 성장 모멘텀 확보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류승우 기자 | CJ대한통운이 계약물류(CL) 부문에서 올해 신규 수주액 7300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40% 성장했다. 혁신적인 물류 컨설팅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W&D(창고·운송) 부문에서만 98%의 폭발적 성장을 기록하며 3PL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확고히 했다.

 

CL 부문 실적, 매출 40% 증가…물류 컨설팅 성과 주효
CJ대한통운의 CL(계약물류) 부문이 올해 신규 수주액 730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0% 성장할 전망이다. CL부문은 보관·운송(W&D)과 항만·하역(P&D)으로 구성되며, 올해 신규 계약을 통해 W&D 수주액이 전년 대비 98% 급증한 3200억 원을 달성했다. 신규 센터 면적은 57만7000㎡에 달해 인프라 확대도 지속된다.

 

TES기술과 물류 컨설팅, ‘윈-윈’ 모델 구축
CJ대한통운의 물류 컨설팅이 신규 수주 확대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헬스앤뷰티(H&B) 및 이커머스 등 주요 고객사를 대상으로 TES 물류기술연구소의 기술력을 접목해 물류 효율성을 대폭 개선했다. A사의 경우 보관효율 42%, 작업효율 10% 개선 효과를 거뒀고, B사는 배송 권역 확대와 물류비 절감에 성공했다.

 

삼다수 물류계약, 3PL 혁신 사례로 주목
올해 5월 체결된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삼다수 도외 물류계약은 CJ대한통운의 기술력과 ESG경영이 돋보인 사례다. 물류 시뮬레이션으로 보관 효율 65% 향상, 탄소 배출량 690톤 절감 등을 제시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CJ대한통운은 이를 통해 고객사의 물류비 절감과 ESG 가치를 동시에 충족시켰다.


CJ대한통운은 내년에도 물류 컨설팅을 고도화해 고객사와 함께 성장하는 ‘윈-윈’ 모델을 확장할 방침이다. 도형준 CJ대한통운 영업본부장은 “맞춤형 컨설팅을 기반으로 1PL에서 3PL로의 전환을 이끌고, 스마트 물류 솔루션으로 독보적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CJ대한통운의 기술 혁신과 고객 맞춤형 서비스는 물류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국내 물류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