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CGTN: 중국 영화 '난징사진관'이 글로벌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이유

베이징 2025년 8월 7일 /PRNewswire/ -- 중국 영화 '난징사진관(Dead to Rights)'이 7월 25일 개봉 이후 중국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지키고 있다. 덕분에 이 영화는 지난 주말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관람된 영화로 기록됐다. 중국 영화 사이트 마오얀(Maoyan)에 따르면 '난징사진관'은 지난 화요일까지 17억위안(약 2억3660만달러)의 수익을 거둬들였다. 또한 중국 리뷰 플랫폼 더우반(Douban)에서 평점 8.6을 기록했으며, 버라이어티(Variety), 채널 뉴스 아시아(Channel News Asia) 등 해외 언론에도 리뷰나 기사가 실렸다.


'난징사진관'은 1937년 난징 대학살 당시 한 사진관으로 피신한 중국 민간인들의 삶을 추적한다. 이들은 생존을 위해 투쟁하던 중 일본군 사진작가의 필름 현상을 돕다가 잔혹한 학살 장면이 담긴 사진들을 보게 되고 이 증거를 보존하기 위해 목숨을 건다.

이 영화의 엄청난 성공은 물론 강력한 스토리텔링과 예술적 완성도에 기인한다. 선아오(Shen Ao) 감독은 지나치게 감상적인 장면을 배제하고 아기에게 칼을 들이대는 장면이나 피로 물든 강 같은 장면 등 최소한의 시각적 요소만을 사용해 공포를 전달했다. 이런 방식으로 감정적 깊이와 진정성을 효과적으로 담았다. 이 영화의 다층적인 스토리텔링과 세련된 프로덕션 디자인은 관객들에게 기술적 완성도를 보여준다.

관객들이 '난징사진관'을 보기 위해 극장으로 몰리는 또 다른 이유는 근본적으로 이 영화가 역사의 진실을 알리기 때문이다. 일본의 전쟁 범죄 사진을 중국에 기증한 미국인 에반 카일(Evan Kail)씨는 이 영화가 역사를 되살리고 희생자들을 기리며 역경을 딛고 과거를 폭로하는 "10점 만점에 10점"인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과거를 기억하는 것은 증오를 부추기거나 간직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재 우리가 누리는 평화의 소중함을 상기시키기 위함이다. 최근 일부 일본 우익 세력의 야스쿠니 신사 방문과 전쟁 부정 행위는 아시아의 안정, 나아가 세계의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 '난징사진관'과 같은 영화는 스크린에 증거를 보존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일본의 기억상실에 대응하고 반드시 지켜지고 전해져야 할 진실을 드러낸다.

이 영화는 호주, 뉴질랜드, 미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지에서 전 세계적으로 개봉될 예정이다. 2차대전 당시 3천5백만명 이상의 군인과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한 중국은 일본과 싸운 연합국의 중요한 일원이었지만 종종 잊혀진 존재였다. 평화에 대한 보편적 호소이자 역사에 대한 진실된 반성을 담은 '난진사진관'은 전 세계 관객의 시간과 관심을 받을 자격이 있다.

링크: https://news.cgtn.com/news/2025-08-06/Why-Chinese-film-Dead-to-Rights-topped-global-weekend-box-office-1FCAH9N09K8/p.html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지방교육재정안정화,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합니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강은희 대구광역시교육감)는 8월 11일 서울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지방교육재정의 현재,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교육위원회 김문수 의원(전남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과 협의회, 지방교육재정 교육감 특별위원회(위원장 임태희 경기도교육감)가 공동 주최했으며 신경호 강원도교육감, 윤건영 충청북도교육감,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을 비롯해 교육부 관계자, 교육재정 전문가, 시·도교육청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서울 서대문을)은 서면 축사를 통해 고교 무상교육 국가 부담 연장 등 교육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를 강조하며, 안정적이고 차별 없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의지를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김문수 국회의원, 임태희 특별위원장, 강은희 협의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와 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시·도교육청이 실제로 직면하고 있는 재정 여건과도 깊이 맞닿아 있다. 17개 시·도교육청은 지난 3년간 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