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과잉공급이어도 값은 오르는 우유 가격의 불편한 진실

현재 국내 우유 시장에선 시장논리가 작동하지 않아 우유 가격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 탓하며 가격 조정을 하지 않으면 소비자의 외면으로 업계가 공멸할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다.

낙농·축산업계와 우유업계의 입장은 ‘국내 시장의 특수성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원유 가격은 낙농가와 우유업체들이 2년에 한 번씩 합의해 생산비에 적정 이윤을 더하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다만 외국에선 젖소들이 목초지에서 ‘공짜’ 풀을 뜯어먹고 우리나라에선 사료를 먹기 때문에 원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원유는 우유업체에서 살균·가공 과정을 거쳐 포장용기에 담긴 후 대리점을 통해 대형마트 등 소매점으로 공급된다.

이런 가격형성 구조에 대해 일각에서는 “시장논리에서 벗어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으면 자연히 가격이 떨어져야 하는데, 우리나라처럼 원가와 마진이 보장되는 구조에서는 우유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여기에 대리점과 대형마트 등 소매점의 마진이 과다하다는 의견도 있다 .

농림축산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관련 문제를 개선했다. 공급 물량이 많아지면 농민들과 원유 가격을 협상해 조정하기로 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우유 재고가 사상 최고라는 지금도 우유 가격은은 여전히 내려가고 있지 않다. 우유를 저장용으로 가공한 탈지분유 재고량은 2014년 말 기준 1만8484t으로 전년 말(7328t)의 2.5배로 늘었다.

결국 낙농업계는 “생산비와 최소한의 마진만 붙였다”는 것이고 우유업체들은 “우유는 정말 마진이 안 남는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 서건호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어찌되었건 국내 우유 가격은 외국보다 두세 배 비싸고 치즈 같은 경우는 최대 5배까지 가격 차이가 난다”고 말했다.

국내의 우유 소비량은 해마다 줄고 있다. 우리 국민의 1인당 우유 소비량은 33.5kg(2013년)으로 2003년(38.2kg)보다 12.3%나 줄었다. 소비자들이 우유를 사지 않으면 결국 우유산업 전체가 무너질 수도 있는 상황이 온다.

김민경 건국대 바이오산업공학과 교수는 “우유 소비량을 늘려 관련 업계가 살아남으려면 어떻게 해서든지 가격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극단적으로 지금처럼 젖소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가면 나중에는 또 공급 부족이 생겨 우유 가격이 폭등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준호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 연준, 예상 밖 '비둘기파' 전환 시사...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현지시간) 새벽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예상치 못한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기조 변화를 시사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의사록은 최근 발표된 고용 및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포함하며, 일부 위원들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조기에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그동안 유지되어 온 '고금리 장기화'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번 발표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강력한 금리 인하 기대감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금리는 즉각적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달러화 가치도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상승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잠재적 경기 둔화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준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신호와 맞물려 더욱 큰 파장을 예고한다. 유럽과 아시아 등 주요 경제권에서도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