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빚 끼고 얻은 집, 가계 소비 위축으로 되돌아와



데일리연합 박혁진기자] 지난 5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의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에 따르면 저금리 기조속에서도 주택담보대출 증가 등으로 대출 규모가 늘면서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부채가 있는 가구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은 2013년 1011만원에서 지난해 1175만원으로 16.1%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가처분소득은 4123만원에서 4357만원으로 6.1%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비율(DSR)은 24.5%에서 26.9%로 높아졌다. 특히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DSR은 지난해 70% 가까이 치솟았다. 빚을 갚는데 소득의 대부분을 쓰고 있는 것으로, 그만큼 소비여력은 줄 수밖에 없다. 소득 2·3분위 가구 역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DSR이 각각 36%, 31%를 넘었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주택금융규제 완화로 가계부채가 확대되면서 취약계층의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근본적으로 소득이 늘지 않는 한 주거 관련 비용이 커지면 소비가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가계의 빚 부담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정부가 지난해 8월 주택매매 활성화를 위해 LTV(주택답보대출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를 풀면서 가계부채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지난해 4분기 동안 18조원 이상 증가한 데 이어 지난 1~2월에도 이례적으로 3조4000억원 늘어났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8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집주인들의 빚 부담이 커지고 있다면 세입자들은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2014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는 55%로, 2년 전보다 4.5%포인트 늘어났다. 반면 전세가구는 2012년 49.5%에서 지난해 45%로 감소했다.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만 해도 전세가구 비중이 55%로 월세(45%)보다 높았지만 6년 만에 상황이 역전된 것. 올들어서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전체 전·월세거래량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사상 처음으로 40%를 돌파한 데 이어 지난 1월에는 43.5%까지 치솟았다.

월세가구가 늘고 있다는 것은 세입자들의 주거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순수 월세의 월 거주비는 103만7000원(전·월세전환율 7.7%)으로, 전세(43만원, 평균 보증금 1억6156만원*연간 이자율 3.2%) 2.4배가량 높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저금리 기조에 정비사업 이주수요까지 겹치면서 전세난이 심화되고 반전세 형태가 늘고 있다”며 “전·월세전환율이 시중금리보다 높아 월세 전환 시 주거비 부담이 커지고 그만큼 소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충남도, 지역·세계 여성 리더 ‘한자리에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충남도는 15일부터 오는 18일까지 도내 일원에서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와 함께 ‘제10차 세계한인여성회장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지난 5월 도와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의 업무협약 후속 조치로, 재외동포 여성 리더 간 교류·협력을 도모하고자 마련했다. 도와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가 주최·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세계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 지금 우리가 시작합니다’를 주제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세계 여성 리더들의 첫걸음’을 부제로 추진한다. 먼저 15일 환영식에는 김태흠 지사와 조규자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 총재, 강임금 충남여성단체협의회장, 세계 각국에서 활동 중인 한인 여성 리더 등 150여 명이 참석해 지속 가능한 미래 실현을 다짐하고 참석자 간 소통망을 강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세계 각지에서 한인 여성의 권익을 높이고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의 열정과 헌신에 깊은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라면서 “인종과 성별의 경계를 뛰어넘어 역동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협의회 덕분에 대한민국과